ADVERTISEMENT

이창용 "금통위원 전망 최종금리 3.5%…금리 인하는 시기상조” [일문일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마친 뒤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2.11.24.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마친 뒤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2.11.24.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이 24일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사상 첫 6회 연속(4·5·7·8·10·11월) 인상 결정이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연 3.25%에 도달했다. 인상 기조는 유지했지만, 보폭은 줄였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통위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5% 수준의 높은 물가 오름세가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물가 안정을 위한 정책 대응을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며 "경기 둔화 확대가 예상되는 가운데 외환부분의 리스크가 완화되고 단기 자금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0.25%포인트 인상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날 금리 결정은 만장일치였다.

이 총재는 향후 금리 인상 경로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1월 이후의 기준금리 결정에 대해서는 12월 미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대외 여건과 국내 물가와 성장 흐름을 면밀히 점검해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해서는 "시기상조"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이날 자신을 제외한 금통위원들의 최종금리 전망을 공유했다. 그는 "대다수의 금통위원이 (최종 금리 수준으로) 3.5%를 제시했다"고 언급했다. 이는 지난달 금통위 직후 밝힌 최종금리 수준과 같다. 아래는 이창용 총재와의 일문일답.

최종금리 수준에 대한 금통위 위원 내부 의견은. 
3.5%가 바람직하다는 위원이 3명, 3.25%에서 멈춰야 한다는 위원은 1명이다. 3.5~3.75%로 본 위원은 2명이다. 금통위원 대다수가 3.5%를 최종금리로 제안했다. 10월 금통위 때는 외환시장 변동성 때문에 대외 요인을 많이 고려했다. 이번에는 금융안정 상황과 성장세 둔화를 더 고려한 측면이 있다는 점이 차이다.
최종금리 도달 시점과 유지 기간은.
시기를 못 박기는 어렵다. 최종금리 도달 이후에도 한은 물가 목표(2%) 수준으로 충분히 수렴한다고 확신한 이후에 금리 인하를 논의해야 한다. 지금은 시기상조다.
11월 물가 상승률이 4%에 진입하면 물가 중심 통화정책 운용도 수정 가능한가.
11월은 예외적인 달이 될 것이다. 지난해는 한파로 11월에 채소 가격이 크게 올랐다. 국제 유가도 추운 날씨 때문에 상승했다. (물가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로 비교하기 때문에 11월과 12월 물가지표가 상당 폭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기저효과가 사라지면 내년 1~2월에는 5% 물가(상승률이)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앞에 찍히는 숫자가 아니라 전체적인 흐름을 봐야 한다.  
자금시장 안정을 위해 한은의 추가 대책이 필요한가.
정부 당국과 매주 만나 논의하고 있다. 금융안정대책 효과를 모니터링 중이다. 회사채 시장 전반과 다른 금융시장은 안정됐다고 본다. 다만 부동산 ABCP의 경우 불안이 지속하는 만큼 추가 대책이 필요한지 선제적인 대책이 필요한지 계속 논의 중이다. 필요하면 정책을 추가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그 경우 한은이 할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이다.
내년 1%대 성장률, 물가는 3%대 중반이면 스태그플레이션 아닌가.
성장률이 낮아짐에도 내년에 전기와 가스 요금 추가 인상이 예상되고, 임금과 서비스가격 인상이 시차를 두고 나타나 물가 하락 효과가 상쇄됐다. 내년 성장률은 상반기 1.3%지만 하반기에는 2.1%로 반등하고, 물가는 4.2%에서 하반기 3.1%로 갈수록 낮아질 것이다. 스태그플레이션이라 부르기에는 과도하다고 생각한다.
오늘 착용한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이 적힌 넥타이가 차주들의 이자 부담 가중을 위로하는 의미란 해석도 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넥타이를 맨 것인데 해석이 좋아서 받아들이겠다. (웃음) 한은도 빨리 경제 상황 나아지고, 경제 주체의 어려움이 해소되도록 금리를 빨리 안정화하고 싶다. 물가가 빨리 안정됐으면 하는 마음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 상황만 보면 큰일이 날 거 같겠지만 상대적으로 보면 좋겠다. 내년도 (성장률은) 미국은 0.3%, 유럽은 –0.2%로 예상한다. 다 같이 어려울 때 한국만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기 어렵다. 안이하게 보지는 않겠다. 하지만 지금 일어나는 많은 어려움은 대부분 해외 요인이란 점을 감안해달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