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회적 불만, 모두 江南 탓?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일류병을 고치려면 강남 8학군 학생을 죽여야 한다'는 익명의 협박편지가 강남의 한 초등학교에 배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비록 이 편지가 정신이상자의 소행일 가능성이 없진 않다고 해도 이런 식의 사회적 미움이 확산되고 있어 섬뜩하다. 이미 지난 9월에도 40대 남자가 서울 대치동 한 아파트와 타워팰리스 지하 헬스클럽을 폭파하겠다는 협박전화를 서울경찰청에 걸어왔으며 최근 강남지역 여성들을 노린 납치강도도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반(反) 강남 정서'가 위험수위에 다다랐음을 보여주는 증거들이다.

부동산 값의 폭등으로 시작된 강남에 대한 차별적 인식이 시간이 흐르면서 화풀이 식, 또는 몰매주기 식으로 변질돼가고 있음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 사회의 고질화한 편가르기 인식과 특정집단을 희생양으로 삼으려는 습성과 맞물려 전반적으로 확대될 조짐까지 없지 않다.

강남지역에 사는 사람이 다 부자인 것은 아니며, 1가구 다주택 소유자만 살고 있지도 않다. 또 강남 사는 사람들이 모의를 해 집값을 올린 것도 아니다. 강남사람 역시 평범한 시민일 뿐이다. 오늘의 결과는 방만한 부동산 시장과 엉성한 공교육을 수수방관한 역대 정부에 일차적인 책임이 있다. 지방대를 졸업하고 취직을 못했다고 8학군 학생을 죽여야겠다는 식으로 사회적 불만을 '강남'으로 돌려서는 안 된다.

강남경찰서는 지난달 31일부터 일주일간을 방범대책 강화기간으로 삼고 압구정동 로데오거리 등을 중점으로 경계를 펴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는 이것이 '구두 신고 발등 긁기'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먼저 정부부터 '강남이 문제'라는 식으로 접근하면 안 된다. 그런 인식이 부지불식간에 특정지역이나 계층에 대한 사회적 적개심을 부추길 수 있기 때문이다.

상대적 박탈감에서 비롯된 '잘 사는 강남 사람들'에 대한 무차별적인 적개심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대책이 요구된다. 빈부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 사회보장제도의 개선, 가진 자들의 겸손과 사회적 책무 수행 등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