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뚝섬 상업용지 고분양가 '예의주시

중앙일보

입력

서울시가 지난해 경쟁입찰을 통해 민간업체에 비싼 값에 매각한 성동구 뚝섬 상업용지 개발에 대해 정부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서울시조차 얼마 남지않은 '노른자위'로까지 표현하고 있는 이 곳에 지어질 주상복합아파트가 부동산시장에 또다른 핵폭탄 수준의 위력을 보일 수 있어서다.

19일 재정경제부와 건설교통부, 국세청에 따르면 정부가 뚝섬 상업용지에 대해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우선 평당 5668만 ̄7734만원에 달하는 고가낙찰이다.

이는 입찰 전까지만해도 평당 3000만원대에서 낙찰이 이뤄질 것이라던 당초 예상보다 배 이상 높은 금액이다. 이 때문에 이 지역에 들어설 주상복합아파트 분양가격도 평당 4000만원을 웃돌 것이 확실시 된다.

국내 금융기관과 건설업체는 물론 부동산펀드들이 군침을 흘릴 정도로 좋은 입지라는 평가지만, 가뜩이나 '고분양가'로 인해 불편한 정부 입장에선 눈엣가시일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 건교부 관계자는 "고분양가 책정 소식이 나오고 있어 관심을 가질 뿐, 특별히 관리하거나 감독할 계획은 세우고 있지 않다"며 직접적인 언급을 피했다.

하지만 이번 11.15대책에서도 뚝섬 상업용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있을 정도로, 정부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분위기다. 재경부 관계자는 "(뚝섬 상업용지는)민간택지인 만큼 앞으로 고분양가 문제는 분양가제도개선위원회와 부동산대책반의 검토를 거쳐 마련된 방안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강구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국세청도 상당한 관심을 두고 있다. 앞서 지난해 6월 대림산업 등 낙찰업체들을 대상으로 세무조사를 벌여 올 초 수백억원의 법인세를 추징한 바 있는 국세청은 상황에 따라 추가 조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국세청 주변에서도 "1차 조사가 예방적 차원에서 일종의 경고였다면 2차는 고분양가와 탈세 부분이 주요한 조사 목적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국세청 관계자는 "뚝섬 상업용지는 대표적인 민간택지의 고분양가 지역으로, 지난해부터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 계속해서 지켜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건설업체들과 마찬가지로 세무조사는 재경부와 상관없이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같은 정부의 움직임과 관련, 대림산업의 경우 현 참여정부 내에서는 사업을 추진하지 않는 방향으로 개발 계획을 잡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머니투데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