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 집 반려견 사료, 균형있는 영양 들어있을까”

중앙일보

입력

대한민국의 반려인구가 1400만명을 넘어섰다. 국민 4명 중 1명 꼴로 반려동물을 양육하고 있는 셈이다.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하는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2022년 4조 원에서 2027년에는 6조원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그중에서도 펫푸드 시장의 성장이 돋보인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국내 펫푸드 시장 규모는 2016년 8537억원에서 지난해 1조5000억원 규모로 4년 만에 78% 이상 커졌다.

반려가구가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동물 복지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활동들이 생겨나고 있다. 다만, 정작 건강의 기초가 되는 먹거리, 즉 ‘펫푸드 영양’에 대한 제도나 기준은 없는 상황이다.

반려동물 사료는 영양 기준 없어  

국립축산과학원은 2002년 소, 닭, 돼지와 같은 산업 동물의 복지를 증진시키고 안정적인 생산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가축사양표준’을 제정했다. 이는 가축의 종류, 성별, 성장 단계 및 생산 목적에 따라 1일 영양소 요구량을 과학적인 실험을 통해 결정해 놓은 기준이다. 축산 업계의 사료 지표로 활용되고 있으며, 복지 등을 고려한 국내 축산 환경을 반영해 5년마다 개정, 공표되고 있다.

반려견과 반려묘가 먹는 펫푸드는 아직이다. 관련 기관에서 사료 구입 요령, 열량 계산, 반려동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 등 보호자를 위한 정보를 안내하고 있지만 공식적으로 정해진 국내 영양 기준은 없다.

현재 반려동물 사료는 사료관리법 상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칼슘, 인, 수분의 함량을 백분율로 표시해야 하며, 사료의 용도를 ‘애완동물용’, ‘성장단계 및 동물명’ 등으로 표기해 출시할 수 있다.

선진국 펫푸드 영양 가이드라인 살펴보니

미국과 유럽은 반려동물이 하루에 꼭 섭취해야 할 영양소를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고, 사료업체가 이를 따르도록 하고 있다. 생애주기, 크기, 활동량 등을 고려해 세분화되어 있으며, ‘완전 사료’라는 구분을 만들어 영양 가이드라인을 충족한 사료에 부여하고 있다.

미국은 규제 당국인 미 식품의약국(FDA)이 검증하는 미국사료관리협회(AAFCO), 유럽에서는 EU가 권장하는 유럽펫푸드산업연합(FEDIAF)의 기준을 따른다.

미국사료관리협회의 영양 가이드라인은 생애주기에 따라 ‘성장∙임신 수유기’와 ‘성견∙성묘 시기’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반려견은 36가지, 반려묘는 40가지의 영양소 함량을 규정하고 이를 충족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유럽펫푸드산업연합은 활동성과 생애주기에 따라 ‘활동성이 보통인 성견∙성묘’, ‘활동성이 낮은 성견∙성묘’, ‘14주 이하의 자견∙자묘’, ‘14주 이상의 성장기 자견∙자묘’ 등 총 4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반려견은 37가지, 반려묘는 39가지의 영양소 함량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사료관리협회와 유럽펫푸드산업연합의 영양 가이드라인을 충족한 제품은 패키지에 각각 ‘완전하고 균형 잡힌’라는 문구를 적을 수 있다. 평생 해당 사료 한 개만 먹어도 필수적인 영양소가 충족된다는 인증인 셈이다. 보호자는 해당 문구를 보고 주식으로 급여할 수 있는 사료를 고를 수 있다.

펫푸드 영양 가이드라인 도입해야

국내에서도 반려동물의 건강한 삶을 위해 영양학적 적절성을 판단할 수 있는 ‘반려동물 영양 가이드라인’ 도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영양학술 단체인 한국수의영양학회는 지난 2월 ‘국내 펫푸드 영양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한 제언’ 연구보고서를 발간하고, 이를 주제로 포럼을 개최하며 국내 펫푸드의 영양학적 적절성을 평가할 객관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유럽, 호주 등 반려동물 선진국들의 펫푸드 영양 가이드라인과 운용 관리 사례를 벤치마킹해 정부 차원에서 반려동물 영양에 대한 정책과 평가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와 포럼에서는 사료의 영양, 품질, 안전성 보장, 소비자의 알권리 향상을 위해 반려동물에 특화된 사료관리 제도 또한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업계에서는 국내산 펫푸드의 품질 향상과 수출 확대를 위해서도 펫푸드 가이드라인 도입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영양 가이드라인의 유무는 해당 나라에서 수출되는 펫푸드의 관리 수준, 안전, 품질, 동물복지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국내 기준이 없기 때문에 미국과 유럽의 가이드라인을 자체적으로 분석해 따르고 있는 실정”이라며, “국내 공인된 기준이 있다면 국산 사료의 신뢰성과 해외 수출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