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힌남노에 용광로도 꺼졌다, 포스코 50년만에 첫 셧다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6일 오전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쏟아부은 물폭탄에 경북 포항시 전역이 물바다로 변한 가운데 포스코 포항제철소 1문 앞 도로에 차량들이 침수돼 있다. [뉴스1]

6일 오전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쏟아부은 물폭탄에 경북 포항시 전역이 물바다로 변한 가운데 포스코 포항제철소 1문 앞 도로에 차량들이 침수돼 있다. [뉴스1]

여의도 3배 면적의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가동 50년 만에 처음으로 ‘셧다운(전체 공정 중단)’에 들어갔다. 현대제철 포항공장 역시 가동을 멈췄다. 기업들은 천재지변으로 인한 불가피한 가동 중단임을 강조하지만, 철저한 원인 분석과 대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포스코홀딩스는 6일부터 주요 자회사인 포스코의 포항제철소에서 제품 생산을 중단했다고 7일 공시했다. 6일 상륙한 태풍 힌남노로 공장 대부분 구역에 정전·침수가 발생하면서 전 공정 라인 가동이 중단돼서다.

포스코홀딩스는 공시에서 “제철소 핵심 설비인 3개의 고로(용광로)는 피해가 없었지만 휴풍(일시적 가동 중단) 중”이라며 “전기 공급이 회복되면 정상 가동 예정”이라고 밝혔다.

고로에서 쇳물을 생산할 때 바람을 주입하는데 휴풍은 이를 일시적으로 멈추는 것을 뜻한다. 보통 2개월 정도마다 고로 정비를 위해 휴풍을 하지만 현재 사용 중인 2·3·4고로를 동시에 휴풍하는 건 처음이다. 포스코는 당초 태풍 상륙이 예상되는 6일 새벽 고로 3기의 휴풍과 전 라인 가동 중단을 계획했다. 하지만 피해가 커지면서 가동 중단 기간이 길어지게 됐다.

이날 오전 포항제철소 2열연공장 인근에 불이 났다. 신고를 받은 소방당국과 포항제철소 자체 소방대가 진화작업을 벌여 3시간여 만에 불을 껐다. 포항제철소는 현재 전면 가동 중단 상태다. [뉴스1]

이날 오전 포항제철소 2열연공장 인근에 불이 났다. 신고를 받은 소방당국과 포항제철소 자체 소방대가 진화작업을 벌여 3시간여 만에 불을 껐다. 포항제철소는 현재 전면 가동 중단 상태다. [뉴스1]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6일 포항제철소를 찾아 침수 지역과 2열연공장, 변전소 등 피해 현장과 직원들을 살핀 뒤 비상대책회의를 주재했다. 현재는 김학동 부회장을 단장으로 태풍재해복구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사태 원인을 파악하고,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포항제철소의 지난해 매출은 18조4947억원으로 포스코홀딩스 전체 연결 매출액의 24.2%를 차지한다. 업계에 따르면 휴풍이 가능한 기간은 5일 정도로 이 기간이 지나면 재가동에 큰 비용이 필요하다. 업계는 하루 생산량과 쇳물 가격을 근거로 하루 수백억원 매출 손실을 추산하기도 했다.

생산 중단이 길어지면 전체 철강 시장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 포스코 측은 “정확한 피해 규모를 파악하는 중”이라며 “고로별 휴풍·송풍을 반복해 이른 시일 안에 조업을 개시할 것이며 수전변전소는 1~2일 안에 정상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침수 피해를 본 전체 라인을 복구해야 생산이 가능한 만큼 공정 복구 시점은 미정이다. 포스코는 포항제철소에서 생산한 슬래브(쇳물을 가공해 판 모양으로 만든 반제품)를 전남 광양제철소로 운송해 가공하고, 광양제철소 생산량을 최대로 늘려 생산 차질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현대제철 역시 힌남노 영향으로 포항공장 일부 시설이 침수돼 봉형강(철근·H형강) 등 제품 생산을 중단했다고 공시했다. 현대제철 포항공장에서도 정전과 침수가 발생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피해 설비를 복구하고 있다”며 “인천과 당진공장 재고 활용, 가동률 증대로 매출 손실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타이어 소재인 카본블랙 등을 생산하는 OCI 포항공장 역시 생산을 멈춘 상태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의 원인을 철저히 분석해 폭우 등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책을 더 철저히 세울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주원인이 기록적 폭우인지, 대처 부족인지 말하기 어렵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하천 범람이나 저지대 침수를 막을 수 있는 시설을 보강하는 등 부족한 부분을 살펴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진우 서울과학기술대 안전공학과 교수는 “천재지변으로 봐야 할 상황 같다”면서도 “항상 예상한 최악의 상황에서 더 심각한 상황이 올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해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