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KDI “우리경제, 글로벌 경기 둔화로 회복세 약해져”

중앙일보

입력

사진은 1일 부산항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사진은 1일 부산항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제조업을 중심으로 우리 경제의 회복세가 약화됐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7일 “최근 우리 경제는 서비스업 개선에도 대외 수요가 둔화하면서 경기 회복세가 약해지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KDI는 이날 ‘9월 경제동향’을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서비스업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대외 수요가 둔화하며 경기 회복세가 약해지는 모습”이라며 “글로벌 경기둔화의 영향이 파급되면서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확대됐다”고 밝혔다.

KDI가 경기 회복세 약화를 언급한 건 지난 6월 이후 석 달 만이다. 앞서 6월 경제동향에서 전 세계 공급망 교란, 원자재 가격 급등 등 대외 여건 악화를 지적하며 올해 처음으로 ‘경기 회복세 약화’를 언급한 바 있다.

7∼8월 경제동향에서는 완만한 경기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KDI에 따르면 한국 경제의 주요 동력인 수출이 둔화하면서 경기 회복세가 꺾이는 데 대한 우려가 커졌다.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6.6% 늘어나는 데 그쳐 전월(9.2%)보다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수출 증가세를 주도해온 반도체가 7.8% 줄어 26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수출 외에도 반도체 산업의 하강을 시사하는 지표가 나타나고 있다.

7월 반도체 생산(계절조정 기준)은 전월 대비 3.4% 감소했다. 출하는 같은 기간 26.1% 크게 줄었다. 가동률은 4월 고점(139.4) 대비 14.3% 하락한 119.5에 그쳤으며, 출하 대비 재고 비율(재고율)은 전월의 63.0%에서 95.7%로 대폭 상승했다.

KDI는 “반도체 수출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18.5% 하락해 반도체 수요가 빠르게 둔화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며 “반도체 산업의 경기하강은 향후 우리 경제의 성장세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반도체 재고가 쌓이면서 7월 전체 제조업 재고율은 전월보다 1.3%포인트 오른 125.5%로 2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중국에 대한 수출도 줄면서 대중(對中) 무역수지가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처음으로 넉 달 연속 적자를 기록하는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지는 양상이다.

7월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와 기계류 투자가 모두 줄면서 전월보다 3.2% 감소했다.

소매판매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5년 이후 처음으로 전월 대비 기준 다섯 달 연속 감소했다. 내구재(-0.8%)를 중심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서비스업 생산은 숙박 및 음식점업(4.4%), 예술·스포츠·여가(7.3%) 등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호조를 보이면서 0.3% 증가했다.

고용시장도 호조세를 이어갔다. 7월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82만6천명 증가하며 전월(84만1000명)에 이어 높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5.7% 올라 상승세가 둔화했다. 다만 개인서비스 물가 상승률이 4.1%로 상승세를 이어가 상방 압력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고 KDI는 지적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경제동향에서 밝힌 우려들이 단기간에 해소되기 쉽지 않아 보인다”며 “중국에서 다시 봉쇄 조치가 이뤄지는 등 글로벌 여건은 안 좋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