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강릉 이어 평창·울산…국제영화제 하나둘 사라진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지난 6월 23일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올림픽메달플라자에서 열린 2022 평창국제평화영화제 개막식 현장 모습이다. [연합뉴스]

지난 6월 23일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올림픽메달플라자에서 열린 2022 평창국제평화영화제 개막식 현장 모습이다. [연합뉴스]

강원도 최초 국제영화제로 출범했던 평창국제평화영화제가 지난 6월 열린 4회를 끝으로 문을 닫게 됐다. 영화제 사무국은 25일 “영화제 예산 지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방자치단체(강원도·평창군)의 현실적인 문제로 더는 영화제를 유지할 수 없게 됐다”고 밝혔다.

강원도 지역 국제영화제가 지자체의 지원 중단 통보로 문을 닫는 건 지난달 강릉국제영화제에 이어 두 번째다. 지난 6월 지방선거를 치른 지 불과 두 달 만에 벌어진 일이다. 지자체들은 예산 부담, 낮은 호응도 등을 이유로 내세우지만, 영화계에선 전임자 행적 지우기가 아니냐는 볼멘 소리가 나온다. 영화제작가협회는 17일 “국제영화제는 지자체장의 전유물이 아니다”라는 성명서를 냈다.

수년간 지역 영화제를 알리고 네트워크를 구축해온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든 처사라는 게 영화계의 비판 요지다. 정상진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집행위원장은 “최근 폐지 과정을 보면 시장·도지사의 입맛에 맞지 않으면 없애도 괜찮다는 식”이라고 비판했다.

문화적 다양성과 신인 창작자 발굴의 발판이 돼온 영화제의 가치를 수익성으로 판단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지적도 있다. 평창영화제의 경우, 최근 “타당성 없는 보조금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김진태 강원도지사의 발언이 나온 이후 강원도로부터 사전 논의 없이 23일 폐지 통보를 받았다.

강원도 관계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평창영화제를 4회 치르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 등 성과가 없진 않았다”면서도 “도비 18억원이 소요돼 재정 부담이 컸다. 영화제를 수익 사업으로 하는 건 아니지만, 현실적으로 예산 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김홍규 강릉시장 당선 직후 시장인수위원회가 강릉영화제 폐지를 결정한 배경에도 예산(약 30억원)에 비해 수익성과 지역 호응이 낮다는 게 원인으로 꼽혔다.

이에 부산국제영화제를 세계적 영화제로 성장시킨 바 있는 김동호 강릉영화제 이사장은 “영화제의 역할은 단순히 비용과 효과를 대비할 문제가 아니다. 자국 영화를 해외에 소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걸 간과한 것 아닌가”라며 지자체의 결정을 비판했다. 이어 “모든 영화제가 적어도 10년 이상 가야 기반을 잡는데, 최근 3년간 코로나19 상황에서 개최된 영화제의 결과로 폐지 결정을 내리는 건 근시안적”이라며 안타까워했다.

강릉영화제는 지역 영화 제작 지원, 평창영화제는 지역 유소년 아카데미와 순회 상영전 등 지역 문화 활성화 사업도 운영해왔다. 익명을 요구한 영화제 관계자는 “지자체가 영상인재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는 영화제를 지원하기는커녕 채산성 떨어지는 행사 정도로 치부하는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말했다. 또 다른 영화 관계자는 “영화계가 다 좌파라는 인식도 문제다. 이분법적인 정치 논리로 정권 교체 이후 일부 영화제 폐지가 결정된 게 아니길 바란다”는 의견을 냈다.

지역 영화제들의 축소·폐지 바람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강원도에 이어 충청북도도 올 10월 4회째를 맞을 예정이던 충북 무예액션영화제를 지난주 폐지 통보했다. 영화제 관계자는 “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전임 지사 역점 사업이던 충북도 무예 관련 행사·단체 지원 예산을 재점검, 지원을 중단한다고 결정했다”고 밝혔다. 울산시는 지난해 시작된 울산 국제영화제를 중단하고 예산 일부를 관내의 울주 세계산악영화제에 통합하기로 최근 결정했다고 시 관계자는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