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흑연 90%·수산화리튬 84%·코발트 81%…배터리 소재, 중국 의존 더 심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배터리 핵심 소재인 수산화리튬과 코발트, 흑연 등에 대한 중국 의존도가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7월 2차전지 핵심 소재인 수산화리튬 수입액 17억4829만 달러 가운데 중국 수입액이 14억7637만 달러로 84.4%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코발트도 전체 수입액 1억5740만 달러 가운데 중국 수입액이 1억2744만 달러로 81%를 기록했다. 흑연의 경우 89.6%에 달했다.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이들 자원의 중국 수입 의존도는 갈수록 높아지는 추세다. 수산화리튬의 중국 수입 의존도는 2018년 64.9%에서 지난해 83.8%로 18.9%포인트 올랐고, 코발트와 흑연도 같은 기간 53.1→64%, 83.7→87.5%로 증가했다. 홍지상 무역협회 연구위원은 “전기차 수출이 확대되면서 상반기 중국으로부터 배터리 원료 수입이 급증했다”며 “수입선 다변화와 대체 생산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제정으로 올 하반기부터 광물 재료 가운데 중국산이 다량 포함된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는 미국에서 보조금을 받지 못하게 됐다는 점이다. IRA에 따라 핵심 광물이 북미에서 채굴되거나 재활용된 배터리를 단 전기차만 7500달러(약 1004만원)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다.

현재 같은 상황이 이어진다면, 아이오닉5 기본 트림의 미국 현지 가격은 3만2450달러에서 3만9950달러(약 5353만원)로 오른다. 반면 포드의 머스탱 마하E는 보조금 혜택을 받아 3만6500달러(약 4890만원)면 구매할 수 있다. 미국의 완성차 업체인 포드·GM·테슬라 등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로, 현대차·기아의 올 상반기 전기차 미국 수출량은 3만4828대였다.

이런 가운데 현대차는 미국 조지아주에 지을 예정인 전기차 전용공장의 착공 시점을 앞당기는 등 대응 방안 마련에 분주하다. 당초 현대차는 내년 상반기에 착공에 들어가 2025년 상반기 완공 및 전기차 양산을 목표로 잡고 있었다. 전기차 전용공장을 짓는 데에는 보통 2년 정도 걸린다. 계획대로 조기 착공이 실현되면 공장 완공 및 양산 시점은 2025년 상반기보다 6개월 빠른 2024년 하반기가 된다. 실제 팻 윌슨 조지아주 경제개발부 장관은 최근 한국을 방문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만나 전기차 전용공장 설립을 앞당기는 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