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尹, GTX-A 개통 최대한 앞당기라지만..."현실적으로 어려워"

중앙일보

입력

 [뉴스분석]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8일 국토교통부의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A 노선은 개통 일자를 최대한 당기라"고 원희룡 국토부 장관에게 지시했다.

 또 "하루하루 출퇴근에 시달리는 수도권 국민들의 절박함을 봤을 때 1, 2년 당길 수 있는 건 최대한 당기고 다른 부처가 적극 협조해달라"고도 했다. 이 과정에서 5월 말에 끝난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도 거론됐다고 한다.

 원 장관은 업무보고 뒤 이런 내용을 전하면서 "(국토부에) 들어가서 GTX를 최대한 앞당길 수 있는 스케줄을 다시 좀 짜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윤 대통령의 지시나 원 장관의 언급과 달리 현실은 녹록지 않다. A노선 사업이 B·C 노선보다 진척이 가장 빠른 건 맞지만, 난제가 많아 개통을 1~2년씩 앞당기는 건 어렵다는 게 철도업계의 지적이다.

 운정(파주)~동탄 사이 83.1㎞를 연결하는 A노선은 당초 2024년 중반께 완공하고 이후 6개월가량 종합시운전을 거쳐 전 구간을 개통하는 게 목표였다.

파주 운정과 동탄을 잇는 GTX-A 철도차량의 실물모형(Mock-Up). [중앙일보]

파주 운정과 동탄을 잇는 GTX-A 철도차량의 실물모형(Mock-Up). [중앙일보]

 하지만 이를 가로막는 큰 장벽이 있다. 바로 서울시가 추진하는 삼성역 복합환승센터(영동대로 복합개발)다. 삼성역 사거리와 코엑스 사거리 사이 600m 구간에 지하 7층 규모로 조성되며, GTX-AㆍC 노선과 지하철 2ㆍ9호선, 위례신사선 등이 정차할 계획이다.

 기존 도로는 지하화하고, 지상에는 대규모 녹지광장이 들어서게 되며 총사업비는 1조 8000억원 안팎이다. 지난 2017년 서울시가 개발계획을 발표할 당시 완공목표는 2023년이었다. GTX-A 개통 계획과 잘 맞아떨어지는 셈이었다.

 그러나 여러 이유로 사업이 지연되면서 완공 예정이 2028년 4월로 대폭 미뤄졌다. A노선 개통 일정과 비교해도 3~4년 이상 늦어지게 된 것이다.

 한 엔지니어링회사 관계자는 "완공 전에 임시정차를 하려고 해도 현행법상안전 관련 시설을 모두 갖춰야 하므로2027년 말은 돼야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삼성역 복합환승센터 조감도. [자료 서울시]

삼성역 복합환승센터 조감도. [자료 서울시]

 열차를 세우지 않고 그냥 통과(무정차 통과)하는 것도 서울시 계획대로라면 2025년 말에나 가능하다. 하지만 철도업계에서는 지하철도 시설을 완료하고 열차 통과를 위한 안전성 검사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면 2026년 말이나 2027년 초는 되어야 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철도업계 관계자는 "삼성역 복합환승센터는 워낙 대규모 지하건설사업이라서 서두르더라도 공사기간을 대폭 줄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교통 요충지인 삼성역에 서지 않는 무정차 통과도 이용객엔 별 효용이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대안으로 운정~서울역과 수서~동탄 구간을 삼성역 무정차 통과가 가능할 때까지 분리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두 구간을 따로 운영하겠다는 얘기다.

 이렇게 되면 운정~서울역 구간은 2024년 중반께 공사를 끝내고 종합시운전을 거쳐 2024년 말이나 2025년 초 개통이 가능할 전망이다. 안재혁 국토부 수도권광역급행철도과장은 "분리운영을 위해 서울역에 열차가 회차할 수 있는 설비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역 복합환승센터 공사 표지판. 완공일이 2028년 4월이다. [강갑생 기자]

삼성역 복합환승센터 공사 표지판. 완공일이 2028년 4월이다. [강갑생 기자]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수서~동탄 구간은 진척이 좀 더 빨라 2023년 말이면 선로와 역사 공사는 끝난다. 그런데 여기도 변수가 있다. 분리운영을 위해 당초 계획에 없던 열차 경정비시설을 동탄역 인근에 건설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 협의와 설계 등을 거쳐 공사를 시작하면 이르면 2024년 중반께 완공 가능하지만 이들 과정에 차질이 생길 경우 완공은 더 늦어지고 그만큼 개통도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게다가 분리운영이나 무정차 통과를 위해선 민자사업자와 운임·선로 사용료 등에 대한 협의를 거쳐야 하는데 두 가지 방안 모두 민자사업자에겐 탐탁지 않은 상황이라 협의가 쉽지 않을 거란 예상도 나온다.

 이런 전후사정을 따져보면 A노선의 개통을 눈에 띄게 앞당기는 건 어려워 보인다. 다만 "안전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각도로 단축방안을 모색하겠다"는 국토부 관계자의 말처럼 다소간 개통시기를 단축하려는 시도는 이어질 것 같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