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어민 무릎 꿇고 머리 찧자 “야야야” “잡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통일부가 2019년 11월 탈북 어민을 판문점을 통해 북송할 당시 촬영한 영상을 18일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3분56초 분량의 영상엔 포승줄에 묶이고 안대를 쓴 두 어민이 판문점 자유의집 2층으로 올라가는 장면이 나온다. 이들은 대기 공간에 마련된 의자에 잠시 앉아 있다가 2층 후면(북측) 현관으로 나와 한 명씩 경찰특공대에게 이끌려 군사분계선 쪽으로 간다. 통일부 관계자는 “자유의집에서 나올 때부터 포승줄과 안대는 풀려 있었다”고 설명했다.

통일부가 18일 공개한 탈북 어민 송환 영상. 한 탈북 어민이 포승줄에 묶여 자유의집 2층으로 올라가는 모습. [사진 통일부 영상 캡처]

통일부가 18일 공개한 탈북 어민 송환 영상. 한 탈북 어민이 포승줄에 묶여 자유의집 2층으로 올라가는 모습. [사진 통일부 영상 캡처]

이 중 검은 점퍼를 입은 어민은 군사분계선 앞에서 멈춰 서더니 그대로 주저앉는 모습이 영상에 포착됐다. 이후 어민은 무릎을 꿇은 채 머리를 땅에 찧으며 자해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모습이 나온다. 이에 현장 관계자들이 “야야야” “잡아” “나와 봐”라고 외치며 달려가 어민을 일으켜세웠다. 어민은 다리에 힘이 풀린 듯 관계자의 손에 이끌려 군사분계선까지 이동한다.

이날 공개된 영상에는 어민의 음성은 담기지 않았다. 통일부 관계자는 “당시 근거리, 원거리를 돌아다니면서 촬영하다 보니 음성이 정확히 녹음된 것 같지 않다”고 설명했다.

판문점 군사분계선을 넘어갈 당시 무릎을 꿇은 채 기어 가고 있는 모습. [사진 통일부 영상 캡처]

판문점 군사분계선을 넘어갈 당시 무릎을 꿇은 채 기어 가고 있는 모습. [사진 통일부 영상 캡처]

통일부는 영상을 공개하면서 “북송 당시 현장에 있던 통일부 직원 한 명이 개인 휴대폰으로 촬영한 뒤 소수의 관계자와 공유하고 업무 PC로 옮겨뒀던 걸 지난 15일 뒤늦게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어 “직원이 업무 수행 과정에서 촬영해 업무 관련자들에게 영상을 제한적으로 공유한 만큼 순수한 개인 기록물이 아니고, ‘공공기관의 정보 공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개가 타당한 자료라고 봤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