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길고양이 줄이려면…12년간 파고든 이스라엘 연구팀 해답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길고양이 [사진 pxinio]

길고양이 [사진 pxinio]

새나 작은 포유류 등 야생 동물을 잡아먹고, 사람에게 전염병을 옮길 수도 있어 골칫거리가 되는 길고양이.
하지만 잡아 없애는 도태(Culling)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이 거부감을 가지고 있고, 대안으로 번식 능력을 없앤 뒤 다시 풀어주는 중성화 수술이 도입됐지만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이와 관련 이스라엘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 연구팀은 "강도 높은 중성화를 꾸준히 해야만 길고양이 숫자를 통제할 수 있다"고 충고했다. 최근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서다.

"강도 높은 중성화 꾸준히 실시해야"

중성화를 위해 포획된 길고양이 [서울시 제공=연합뉴스]

중성화를 위해 포획된 길고양이 [서울시 제공=연합뉴스]

연구팀은 2007~2018년 12년 동안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도시권에 위치한 인구 24만 명의 리숀-레자이온(Rishon-LeZion) 지역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전체 58.7㎢ 면적 중에서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곳을 제외한 25㎢ 면적의 61개 구역에서 진행했다.

2007~2009년에는 중성화 수술(TNR) 시행 전 단계로 연구팀은 고양이 현황만 파악했다.
2009년 10월~2014년 10월에는 혼합 개입 단계로, 31개 구역에서는 고강도 중성화 수술을 진행했고, 나머지 30개 구역에서는 중성화 수술을 하지 않았다. 중성화 구역과 비중성화 구역 사이에 고양이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다.

혼합 개입 기간에는 모두 1만925마리에 대해 중성화 수술을 했는데, 수컷과 암컷 비율은 1:1.07이었다.

2014년 말 조사 결과, 비중성화 구역에서 중성화된 고양이 비율은 35%였고, 중성화 구역에서는 고양이의 71%가 중성화됐다. 전체 조사지역에서는 51%가 중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1개 전체 구역별로 중성화 비율을 나열했을 때 하위 30%에 속하는 구역만 모은 그룹 1에서는 중성화 비율이 평균 19%로 나타났다. 또, 구역별 중성화 비율에서 상위 25%에 속하는 구역만 모은 그룹 2에서는 평균 80%의 중성화 비율을 보였다.
혼합 개입 기간에 전체 고양이 숫자는 26.5% 증가했는데, 중성화 비율이 높은 그룹 2구역에서만 보면 연간 4% 증가하는 데 그쳤다.

70% 이상 중성화 때 연 7% 감소

팔레스타인 남성이 가자 지역 해변에서 고양이에게 먹이를 주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팔레스타인 남성이 가자 지역 해변에서 고양이에게 먹이를 주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2014년 1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는 전면 개입 단계로, 연구 지역 전체에서 강도 높은 중성화 수술을 했다.
그 결과, 전체 조사 구역에서 70% 이상의 중성화 비율을 보였고, 고양이 숫자는 23.1% 감소했다. 연평균 7% 이상 감소했다.

연구팀은 "중성화 수술을 도시 전체로 확장했을 때는 비중성화 지역으로 고양이가 이주하는 효과를 감소시켰을 수 있다"며 "인접한 지역에서 고강도 중성화를 동시에 유지하는 것이 고양이 숫자를 줄이기 위한 전제 조건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결론을 내렸다.

연구팀은 "장기간 고강도 중성화 수술을 진행할 경우 중성화 고양이 비율이 높아지면서 중성화 안 된 고양이를 포획하는 효율이 크게 떨어지고, 그에 따라 비용이 상승한다는 점은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먹이 제한과 입양도 병행해야 

서울 서대문구의회 주차장 한 켠에 마련된 길고양이 급식소를 찾은 고양이 한 마리가 사료를 먹고 급식소를 나서며 주위를 살피고 있다. 김성룡 기자

서울 서대문구의회 주차장 한 켠에 마련된 길고양이 급식소를 찾은 고양이 한 마리가 사료를 먹고 급식소를 나서며 주위를 살피고 있다. 김성룡 기자

이에 따라 먹이 등 필수 자원의 제한, 아픈 고양이의 안락사, 고양이 입양 등과 같은 보완적인 방법을 통합할 필요도 있다는 것이다.
또 중성화 수술 자체로는 야생 동물의 포식을 방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먹이에 단백질 함량을 높이거나 사냥을 방해하는 장치를 부착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중성화 비율이 상승하면서 전체 고양이 숫자는 줄었지만, 새끼 고양이 숫자가 늘어나는 현상도 관찰됐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중성화 수술을 받지 않은 암컷의 임신 빈도 증가, 경쟁 감소로 인해 한배 새끼 숫자의 증가 같은 보상 메커니즘이 강화됐을 가능성이 있고, 중성화 안 된 암컷이 옮겨왔을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