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포토버스]덕수궁의 봄은 이렇게... 전각 내부 특별관람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덕수궁관리사무소는 평소 공개되지 않던 덕수궁의 주요 전각 내부를 둘러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29일부터 오는 4월 3일까지 매일 2회(오전 10시, 오후 3시 30분) 운영한다. 석어당, 즉조당, 함녕전 등 전각 내부에서 해설이 진행되며 회당 10명만 참여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지난 2016년부터 매년 봄에 진행되다가 코로나19로 인해 중단되었으며 3년 만에 재개됐다.

29일 석어당 2층에서 한 관람객이 창 밖으로 보이는 살구나무를 촬영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29일 석어당 2층에서 한 관람객이 창 밖으로 보이는 살구나무를 촬영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29일 관람객들이 중화전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장진영 기자

29일 관람객들이 중화전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장진영 기자

중화전 중앙 보개 천장에 왕을 상징하는 용 조각이 새겨져 있다. 장진영 기자

중화전 중앙 보개 천장에 왕을 상징하는 용 조각이 새겨져 있다. 장진영 기자

해설사와 함께 85분의 시간 여행이 시작된다. 궁궐 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고, 당시의 집기들이 그대로 재현된 5곳을 만나볼 수 있다. 궁궐의 공식 행사를 치렀던 중화전, 덕혜옹주를 위한 왕실 유치원 준명당, 광해군과 인조가 즉위한 장소인 즉조당, 궁궐에서 보기 드문 2층 건물 석어당, 고종의 침전이자 승하한 장소이기도 한 함녕전 등 총 5개의 전각 내부가 공개된다. 평소 밖에서 바라보기만 했던 공간들에 직접 들어가 당시의 분위기를 오롯이 느껴볼 기회다.

29일 관람객들이 준명당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장진영 기자

29일 관람객들이 준명당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장진영 기자

준명당은 덕혜옹주를 위한 유치원으로 사용되기도 했다.장진영 기자

준명당은 덕혜옹주를 위한 유치원으로 사용되기도 했다.장진영 기자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 관계자는 "특별관람의 하이라이트는 석어당 2층에서 살구꽃을 보는 것"이라며 "살구꽃이 피었다가 보통 일주일 만에 진다. 그래서 석어당 앞에 살구꽃이 피는 시기에 맞춰 특별관람 행사도 열고 있다"고 설명했다.

광해군과 인조가 즉위한 곳으로 알려진 즉조당. 준명당과 복도로 이어져 있다. 1897년 고종의 환궁 이후 정전으로 사용됐다. 장진영 기자

광해군과 인조가 즉위한 곳으로 알려진 즉조당. 준명당과 복도로 이어져 있다. 1897년 고종의 환궁 이후 정전으로 사용됐다. 장진영 기자

즉조당 백수백복도자수병풍에 왕실의 장수와 다복을 기원하는 문양이 수놓아져 있다. 장진영 기자

즉조당 백수백복도자수병풍에 왕실의 장수와 다복을 기원하는 문양이 수놓아져 있다. 장진영 기자

석어당 단청과 앞에 위치한 살구나무. 개화가 지난해보다 늦은 편이다. 장진영 기자

석어당 단청과 앞에 위치한 살구나무. 개화가 지난해보다 늦은 편이다. 장진영 기자

단청 없이 중층 건물인 석어당. 이날 관람객들이 석어당 2층에서 해설을 듣고 있다. 석어당은 선조의 계비인 인목왕후 김씨가 10여년간 감금생황을 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장진영 기자

단청 없이 중층 건물인 석어당. 이날 관람객들이 석어당 2층에서 해설을 듣고 있다. 석어당은 선조의 계비인 인목왕후 김씨가 10여년간 감금생황을 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장진영 기자

29일 석어당 내부에서 관람객들이 창밖의 살구나무를 바라보고 있다. 장진영 기자

29일 석어당 내부에서 관람객들이 창밖의 살구나무를 바라보고 있다. 장진영 기자

고종의 침전으로 사용된 함녕전. 1904년 온돌 과열로 화재가 발생한 곳이기도 하다. 고종은 이곳에서 1919년 승하했다. 함녕전 대청마루에 일월오봉도가 그려진 병풍과 왕의 의자인 용교의가 자리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고종의 침전으로 사용된 함녕전. 1904년 온돌 과열로 화재가 발생한 곳이기도 하다. 고종은 이곳에서 1919년 승하했다. 함녕전 대청마루에 일월오봉도가 그려진 병풍과 왕의 의자인 용교의가 자리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29일 관람객들이 함녕전에서 솜으로 누빈 커튼 무렴자를 보고 있다. 장진영 기자

29일 관람객들이 함녕전에서 솜으로 누빈 커튼 무렴자를 보고 있다. 장진영 기자

함녕전의 벽지 능화지. 용, 봉황, 구름 등이 새겨져 있다. 장진영 기자

함녕전의 벽지 능화지. 용, 봉황, 구름 등이 새겨져 있다. 장진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