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美 제재에 "우리 같은 강대국엔 안 통해…보복할 것" 맞불

중앙일보

입력

러시아의 군용 트럭과 버스가 23일 우크라이나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러시아 남서부 로스토프 지역을 지나고 있다. AFP=연합뉴스

러시아의 군용 트럭과 버스가 23일 우크라이나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러시아 남서부 로스토프 지역을 지나고 있다. AFP=연합뉴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미국의 대(對)러시아 제재를 강하게 비난하면서 보복 제재를 경고했다. 러시아는 "러시아를 포함한 국제 강국들에 대해 그러한 제재는 통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23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미국 행정부가 선포한 제재 패키지는 이미 101번째 대러 제재로, 개인적 제재 대상 인사 목록 확대를 포함해 재정 부문을 건드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러 외무부는 "미국은 자신들이 만든 규칙을 다른 모두에게 부과할 수 있다는 잘못된 확신을 가졌다며 "미국 외교 정책에 남은 건 공갈, 협박, 위협 뿐"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러나 러시아를 포함한 국제 강국들에 대해 그러한 수단은 작동하지 않는다"면서 "러시아의 발전을 저해하려는 목적으로 오랜 기간 취해지는 이 같은 노력이 쓸데없음이 분명함에도, 미국은 자국의 이익 관점에서도 비효율적이고 비생산적인 제재 수단들에 또다시 반사적으로 매달리고 있다"고 조롱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F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FP=연합뉴스

또한 러시아 외무부는 "(미국의) 제재에는 강력한 대응이 있을 것이란 점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맞대응을 경고했다. "반드시 대칭적일 필요는 없지만 잘 조정된 미국 측에 민감한 대응일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외무부는 "제재 압박은 자국의 이익을 굳건히 수호하려는 우리의 결의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면서도 "상호존중과 평등, 상대 이익에 대한 고려 등에 바탕을 둔 외교에는 우리도 열려 있다"고도 했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백악관 연설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공(invasion)이 시작됐다"며 대러 제재 방침을 밝혔다.

미국 정부는 러시아 최대 국책은행인 대외경제은행(VEB)과 방위산업 지원특수은행인 산업건설은행(PSB) 및 42개 자회사를 제재대상에 올려 서방과의 거래를 전면 차단했으며 이들의 해외 자산도 동결하기로 했다.

서방 금융권에서의 러시아 국채 발행과 거래 역시 전면 중단해 돈줄을 압박하고 나섰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