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머니랩 구독전용

단타·존버·잡주…수익률 낮은 덴 이유가 있더라[앤츠랩]

중앙일보

입력

국내 개인투자자 중 20만명의 2020년 투자내역을 요리조리 뜯어다본 연구자가 있습니다. 김민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개미는 왜 투자에서 실패하는가’라는 주제를 행태경제학적으로 연구한, 팩폭으로 가득한 보고서 내용이 흥미로운데요. 1990년생 개미투자자이기도 한 그를 만났습니다.

악! 내 차크 왜 이래! 셔터스톡

악! 내 차크 왜 이래! 셔터스톡

이번 보고서('국내 개인투자자의 행태적 편의와 거래행태')를 저는 이렇게 읽었어요. ‘남성은 과잉확신과 잦은 거래, 여성은 손실을 회피하려 손절을 못하는 것이 투자의 약점’이라고요. 
“연구 결과 남성들은 본인의 정보나 판단에 대한 확신이 높은 경향이 있어서 자주 거래하고 투자 실수도 더 많이 하는 것 같고요. 여성들은 반면 손실을 회피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해 손실 난 주식 매도를 미루는 경향이 있습니다. 해외도 비슷해요.”  
복권형 주식을 좋아하는 것도 수익률을 떨어뜨리고요. 
“용어가 생소한데, 쉽게 얘기하면 ‘잡주’에요. 이걸 많이 거래하는 사람들이 성과가 실제 안 좋았다는 결론이죠.”
김민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강정현 기자

김민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강정현 기자

의외였던 게 2020년은 장이 매우 좋았잖아요. 
“2020년 3월부터 10월까지 국내주식 투자내역만 봤는데요(ETF는 제외). 그 기간 동안 100억원 이상 번 사람도 봤죠. 또 2억 미만의 투자금으로 200% 이상 수익률을 올린 사람도 있었고요. 물론 극소수지만. 개인투자자 중 상위 10%가 8개월 동안 1000만원 이상 벌었어요. 2020년 국내주식에서 1000만원 넘게 벌었다, 그러면 본인이 대략 상위 10% 안에 들겠구나 생각하시면 됩니다.”
10%가 1000만원이라…다들 주식으로 돈을 엄청 번 줄 알았는데, 그렇지도 않은가봐요. 
“개인들이 거래비용에 둔감한 것 같아요. 우리나라는 거래세가 있기 때문에 그게(거래세+거래수수료) 누적되면 수익률에 꽤 큰 영향을 미쳐요. 신규투자자들은 수익률이 7%포인트 가까이 차감됐거든요.”
연간 7% 수익 내기도 어려운데. 
“시장이 굉장히 좋았는데도 수익을 많이 못 낸 원인 중 하나가 보유기간이 짧아서. 샀다가 좀 이익 나면 팔고 또 샀다 팔고 하니까 상승장을 풀리(fully) 이익으로 얻지 못했죠. 처분효과(오른 주식은 팔고, 내린 주식은 보유)이죠.”
한때 ‘5% 또는 5만원만 먹고 판다’가 유행이었죠. 
“(해외와 달리) 우리나라는 이익구간이 되는 순간 매도확률이 엄청 점프하죠. 조금이라도 돈을 벌면 파는 거에요.”
분산투자를 하라는데, 몇개 종목이면 분산투자에요? 
“퀀트(계량분석)로 아무 주식이나 랜덤으로 뽑아서 1년 보유했을 때 수익률을 봤는데요. 종목 수가 많을수록 수익률이 실제로 더 높아요.”
김민기 박사가 퀀트로 본 종목 수에 따른 수익률 분포. 종목수(왼쪽)가 많아질수록 그래프의 가장 높은 봉우리가 점점 오른쪽으로 간다. 평균수익률이 점점 높아진다는 뜻. 다만 종목수 20개가 넘어가면서부터는 비슷비슷. 자료 김민기 연구위원

김민기 박사가 퀀트로 본 종목 수에 따른 수익률 분포. 종목수(왼쪽)가 많아질수록 그래프의 가장 높은 봉우리가 점점 오른쪽으로 간다. 평균수익률이 점점 높아진다는 뜻. 다만 종목수 20개가 넘어가면서부터는 비슷비슷. 자료 김민기 연구위원

직접투자인데 30개, 40개 종목을 하긴 어렵잖아요. 
“몇개 종목을 투자하라곤 말 못해요. 워렌 버핏은 ‘존버의 귀재’이자 ‘집중투자의 달인’이거든요. 그런 인사이트가 있으면 몰빵투자해도 돼요. 그런데 일반 개인은... 적정 수익률을 얻고 싶으면 마켓지수에 투자하는 게 합리적이고요. 좀더 위험을 감수하면 테마형ETF도 괜찮고요. 스스로 역량에 자부심이 있으면 개별주식을 하는 거죠.”
개인이 뭘 하면 투자행태를 바꿀 수 있을까요. 자신의 투자 실패를 복기해보면 도움 될까요? 
“실제 그래요. 과거 수익률을 자신이 관찰할 수 있으면 처분효과가 줄어들고요. 특히 내가 얼마에 샀는지에 대한 정보를 감춰버리면 처분효과가 줄어들죠.”
5만원에 샀다는 걸 알면 5만5000원에 얼른 팔텐데, 얼마에 샀는지 모르면 더 보유한다? 그렇군요! 
“모의투자를 해보고 나서 투자하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성과가 더 좋기도 하죠.”
김민기 연구위원은 카이스트 학부에서 수리과학을 전공했다. 카이스트 대학원에선 경영공학을 전공. 강정현 기자

김민기 연구위원은 카이스트 학부에서 수리과학을 전공했다. 카이스트 대학원에선 경영공학을 전공. 강정현 기자

단타도 존버도 아니라면, 본인만의 투자방법이나 투자원칙이 있나요? 
“3, 4개월에 한번 포트폴리오를 리밸런싱해요. 손절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죠. 그리고 종목을 고를 땐... 아, 이건 영업기밀인데...”(동공 흔들림)
오, 그럼 들어야 겠는데요! 
“제가 퀀트를 좋아해서요. (종목에 대한) 데이터도 있고요. ①기업의 성장성과 ②현재 저가 수준의 저평가된 정도, 두가지를 (자신만의 공식으로) 정량적으로 평가해 종목을 선별해서 약속된 시점에 그냥 사고 팔아요. 굉장히 기계적으로 거래해요. 제 감정이 크게 반영되지 않아요.”
수학공식으로 투자 종목을 선정한다고? 셔터스톡

수학공식으로 투자 종목을 선정한다고? 셔터스톡

일단 사면 3개월 뒤에나 주식창을 여는 건가요? 
“네. 거의 보지 않아요. 옛날엔 일희일비했는데 그게 정말 의미없다는 걸 알게 됐기 때문이죠.”
실제로 그렇게 투자하는 개인은 처음 봤어요! 투자에 참고한 책이 있을까요? 
“조엘 그린블라트의 ‘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 되게 단순한 정량적 지표를 가지고 주식에 투자해서 돈을 번 비법(20년간 연평균 수익률 40%)을 담은 책인데, 정말 쉬워요.”
자본수익률과 이익수익률, 두가지로 종목을 고른다는 '마법공식'을 설명하는 책이다.

자본수익률과 이익수익률, 두가지로 종목을 고른다는 '마법공식'을 설명하는 책이다.

그 책이 투자법에 영향 미친 거군요. 
“이런 걸 한번 캐치업해볼까 하다가 점차 저만의 정량적 지표 투자 방식이 정해진 거죠. 또 최근 재미있게 본 책이 하나 있는데요. ‘개미는 왜 실패에도 불구하고 계속 투자하는가’(김수현 저)에요.” 

(김수현씨 책은 앤츠랩 미니쮸 에디터가 과거에 했던 인터뷰를 참조하세요~)
*앤츠랩이 인터뷰하길 원하는 사람이 있으면 앤츠랩 게시판에 알려주세요! by.앤츠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