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그냥 만들고 싶은 것” 황동혁, ‘오징어 게임’ 이을 다음 장르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오징어 게임'을 만든 황동혁 감독(왼쪽)이 서울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호텔에서 제18회 한국이미지상 디딤돌상을 받고 있다. 오른쪽은 한국이미지커뮤니케이션연구원(CICI) 최정화 이사장. 사진 CICI

'오징어 게임'을 만든 황동혁 감독(왼쪽)이 서울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호텔에서 제18회 한국이미지상 디딤돌상을 받고 있다. 오른쪽은 한국이미지커뮤니케이션연구원(CICI) 최정화 이사장. 사진 CICI

 ‘오징어 게임’을 만든 황동혁(51) 감독은 지난해 세계를 뒤흔든 대표적인 한국인이다. 황 감독은 “한국 작품 최초로 미국 넷플릭스 차트에서 1등 한번 해보고 싶다는 목표와 꿈을 갖고 만들긴 했지만, 이 정도까지 역사적인 성공작이 될 거라고 감히 생각 못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엔 ‘미래물’ 장르를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과거의 이야기도 해봤고, 현재에 일어날 법한 엉뚱한 이야기도 해봤으니 다음에는 20~30년 안에 우리에게 닥쳐올 일들을 갖고 사회성 있는 드라마를 해보고 싶다”면서다.

황 감독의 인터뷰는 제18회 한국이미지상 디딤돌상 수상을 기념해 한국이미지커뮤니케이션연구원(CICI) 최정화(67) 이사장과 사전에 진행해 12일 서울 삼성동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호텔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공개됐다. 디딤돌상은 한국의 이미지를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한 한국인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CICI는 “독창적인 각본과 창의적 설정이 가득한 연출로 오징어 게임 드라마가 세계적인 신드롬을 일으켜 한국의 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리고 한국을 문화 콘텐트 강국으로 우뚝 서게 했다”고 밝혔다.

팬데믹에 우울한 작품이 성공한 이유?

황동혁 감독. 연합뉴스

황동혁 감독. 연합뉴스

‘오징어 게임’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한창일 때 촬영과 방영까지 이뤄졌다. 촬영장소 섭외부터 막혔고 2020년 9월 확진자 수가 300명이 넘자 넷플릭스 측의 명령으로 한 달간 촬영이 중단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오징어 게임의 성공은 파격이었다. 황 감독은 “미국 할리우드에선 팬데믹의 우울함을 잊을 수 있는 밝고 희망찬 작품이 성공할 것으로 보고 그런 작품을 기획해왔다”며 “오징어 게임같이 우울하고 폭력적이고 파격적인 작품의 성공을 보고 잘못 생각했다고 말하더라”고 했다.

그는 특히 “어떤 이야기이든 보는 사람이 작품에 얼마나 감정이입을 하고 공감할 수 있느냐의 문제”라며 “(작품을 처음 구상한 2008년 이후) 10여년 사이에 부동산값이 급등하고 가상화폐에 돈이 몰리고 투기 열풍이 일어나면서 빈부 격차가 심해졌는데 거기에 팬데믹까지 오면서 세상이 점점 더 살기 어려워졌다. 일련의 변화가 ‘오징어 게임’ 같은 상황이 비현실적인 게 아니라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을 것 같은 상황이 된 것도 (오징어 게임이 성공할 수 있었던) 큰 변화였다”라고 말했다.

“만들고 싶은 것 자유롭게 만들겠다” 

골든글로브 오징어게임. [중앙포토]

골든글로브 오징어게임. [중앙포토]

한국 작품이 세계 무대에서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부분은 단연 언어다. 황 감독은 “언어라는 게 어떻게 해도 번역이 잘 안 되는 부분들이 있기 마련”이라며 “‘오빠’ 같은 표현은 어떻게 해도 서구권에는 정확히 전달되기 힘들다. 그 자체로 ‘oppa’라고 쓰면 ‘한국 사람이 어린 여자가 나이 많은 남자를 부를 때 쓰는 친근한 표현이구나’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차라리 아예 그런 콘텐트로 밀어붙여서 그 말 자체가 고유명사처럼 쓸 수 있는 시절을 만들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무엇보다 그가 이루고 싶은 일은 “만들고 싶은 것들을 만드는 것”이다. “사실 창작하는 사람이 너무 큰 무게와 사명감을 가지고 대의를 생각하면 경직되는 경향도 있는 것 같다”면서다. “그냥 만들고 싶은 것들을 자유롭게 최선을 다해서 내가 원하는 방식대로 만들어갈 거예요. 다만 한 작품이 전 세계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오징어 게임’을 통해 깨닫게 된 만큼 작품을 만들 때마다 어쩔 수 없이 그런 사명감이 제 마음 기저에 자리를 잡아서 조금씩 영향을 주지 않을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