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커지는 지역 격차, 상생형 일자리가 해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강원도 횡성은 한 때 자동차 부품 산업의 메카였지만, 완성차 업체가 해외로 생산기지를 옮기면서 지역 경제가 2013년 이후 내리막을 겪었다. 여기에 인구 고령화까지 겹쳤다. 하지만 지난해 강원형 일자리 사업인 ‘횡성 전기차 클러스터’가 정부 ‘상생형 지역 일자리’로 선정되면서 반전의 계기를 마련했다.

상생형 지역일자리 사례.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상생형 지역일자리 사례.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초소형 전기화물차 생태계를 조성하는 강원형 일자리는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이 이익과 리스크를 함께 공유하는 최초의 중소기업 중심 상생 모델로 주목받았다. 노동자 측은 경영 안정시까지 노사분규를 자제했다. 사측은 신규 투자와 함께 지역주민 우선 채용, 정년보장, 근로환경 개선 등에 힘쓰기로 합의했다. 정부도 정주 여건 개선과 공공어린이집 설치 등 각종 사업에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 일자리 사업으로 2030년까지 2680여명의 고용 창출과 약 3조원의 생산, 7663억원의 부가가치 유발 등 경제적 파급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7일 산업연구원은 상생형 지역일자리가 전국으로 확산하며 미래 유망사업 발굴 및 성장동력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형 SUV(스포츠유틸리티차) 캐스퍼를 생산하는 광주형 일자리를 시작으로, 횡성(초소형 전기 화물차)·밀양(친환경·스마트)·군산(전기차 클러스터)·부산(전기차 구동유닛)·신안(해상풍력단지) 등에서 추진 중이다. 위기를 겪는 지역 산업에 새로운 성장 동력을 불어 넣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호응을 받았다.

특히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 해소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통계청은 2003~2007년에는 연평균 총부가가치 성장률이 비수도권 5.14%, 수도권 5.12%로 비교적 균등했다고 밝혔다. 반면 최근(2016~2019년)에는 비수도권 1.78%, 수도권 3.72%로 차이가 벌어졌다. 특히 같은 기간 주력 산업인 제조업의 부가가치 성장률은 수도권(5.11%)이 비수도권(1.23%)의 4배가 넘는다.

상생형 지역일자리는 고질적인 지역의 노사 갈등 해소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통계청은 2019년 비수도권 노사분규 건수가 93건으로 수도권(48건)의 2배에 육박한다고 밝혔다.

상생형 지역일자리는 노사협력 모델로 사업을 추진하기 때문에 이런 노사대립 구도를 완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런 노사 환경은 기업이 미래 산업에 보다 적극 투자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다. 산업연구원은 “상생형 지역일자리는 지역의 자생적 성장기반구축을 지원한다는 ‘균형발전’의 가치와 ‘노·사·민·정 상생’의 가치를 모두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