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근로자 야간대 입학 특전/기업의 기술대 졸업도 학위인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이공대 1만2천명 증원/공고생 절반은 학비면제/95년까지/인력정책 심의위
「힘든 일은 싫다」며 산업현장에서 빠져나가는 일손을 잡아두기 위해 정부가 황급히 인력수급대책을 마련했다,
이대로 두었다가는 우리나라 산업에서 제조업이 뻥뚫리는 공동화현상이 더욱 심해져 앞으로 나라살림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기 때문이다.<관계기사7면>
정부는 7일 인력정책심의위원회(위원장 이승윤부총리)를 열고 모자라는 기능인력을 키우기 위해 공고생에 대한 공납금면제범위를 점차 확대,내년에는 공고생들의 3분의1인 6만5천명에게 이 혜택을 주고 95년에는 전체의 절반인 15만3천명에게까지 이를 확대키로 했으며 일정기간 제조업체에 근무하면 야간대학입학특전을 주기로 했다.
또 대기업 부설대학이나 기업체내에 설립된 기술대 졸업자에게 심사를 거쳐 소정의 학위를 인정해주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이와함께 93년까지 공고 신설(10개)ㆍ공고 학급증설(2백개)ㆍ직업훈련강화 등으로 9만4천1백명의 기능인력을 늘리며 이공계 대학정원은 내년부터 매년 2천4백명씩 95년까지 총 1만2천명을 더 늘리며,이공계 전문대는 매년 5천8백명씩 증원키로 했다.
정부는 부처별로 이같은 방안을 시행하기 위한 세부적인 추진계획을 이달말까지 마련키로 했으며 법률개정사항은 오는 정기국회에서 처리키로 했다.
현재 전국의 각 산업체에서 모자라는 기능인력은 7만명 정도로 경공업 뿐만 아니라 중화학 공업및 첨단산업 부문에서도 인력이 달려 임금이 상승하고 제품가격을 올리는 결과를 가져와 수출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정부는 근로자들이 제조업을 기피,서비스업으로 몰리는 것을 막기 위해 제조업체에 근무한 지 3년이상이면 야간전문대,4년이상이면 4년제대학 야간입학특전을 주고 장기근속자에게는 공공근로자주택에 우선 입주시키기로 했다.
또 종업원 3백인이상 대기업체 근로자에게는 대학까지 자녀학자금을 대주도록 해당업체에 권유키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