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등물가… 연말억제선 위협/정부 안정책마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전기ㆍ전화ㆍ도기가스료 인하
오는 5월1일부터 전기요금이 산업용 5%,경인지역 도시가스요금이 평균 6% 인하된다. 또 전화요금은 기본료를 월 3천원에서 2천5백원으로 내리며 시외전화는 10%가 인하된다.
그러나 우편요금은 누적적자를 감안해 5%정도 인상되고 7백원짜리 새담배 「88딜럭스 마일드」의 5월초 신발매를 허용키로 했다.
정부는 이와함께 물가안정을 위해 통화ㆍ재정긴축을 단행,5월말까지 대규모 투자사업 우선순위 재조정과 함계 올해 예산중 2천억원정도를 절감하며,총통화도 전년동기비증가율을 1ㆍ4분기 23.5%에서 2ㆍ4분기에는 20∼22%수준으로 낮춰 연간목표 15∼19%수준을 엄격히 지켜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20일 오후 이승윤부총리주재로 재무ㆍ농림수산ㆍ상공ㆍ건설등 관계부처와 민간전문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물가안정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물가안정대책」을 발표했다.<관계기사5면>
이에 따르면 물가는 지난 3월(소비자 3.2%,도매 0.9%)에 이어 4월15일 현재 소비자 4.7%,도매 1.8%로 4월 들어서는 더 높이 뛰어 당초 물가억제목표선(소비자 5∼7%)에 거의 육박하고 있으며 자칫하면 연말에는 10%선을 넘어서 두자리숫자를 기록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에따라 정부는 전기ㆍ도시가스ㆍ전화등 공공요금 인하를 단행,▲전기는 산업용과 심야전기료를 각각 5%,4.4%씩 내리고 1주택다가구와 농사용 요금부과방식을 개선하며 ▲전화도 지난 3월부터 시내통화의 야간ㆍ공휴일 30%할인제를 시행한 외에 국제통화료의 인하를 별도로 추진키로 했다.
그러나 우편요금은 누적되는 체신적자를 감안,1종우편요금을 현행 80원에서 1백원으로 올리고 2∼4종 엽서ㆍ신문ㆍ서적우편도 10원씩 인상키로 했다.
또 농수산물가격안정을 위해 ▲정부미 방출량을 현재 하루 7천가마에서 20일부터 1만5천가마로 확대하고 5월초부터 일반미도 시중쌀값의 90∼95%수준으로 연간 6백만가마를 풀며 ▲수입쇠고기방출 확대와 전문판매점설치확대(현재 8백85개→1천개) ▲오징어ㆍ명태등 원양어획물의 국내반입을 늘리기로 했다.
이와함께 건자재 수습애로를 타개하기 위해 도로ㆍ하천공사등 정부공사 집행시기를 3ㆍ4분기이후로 늦추며,7월부터 할당관세품목을 철강ㆍ석유화학제품을 중심으로 현재 60개에서 5∼6개품목 늘리며 할당관세율도 현행 3∼5%수준에서 1∼2%로 낮추기로 했다.
정부는 공산품에 대한 가격감시 기능을 강화,원자재 값이 내린 품목은 곧 관련제품의 국내판매가를 내리도록 하며 숙박ㆍ이미용료등 서비스요금도 승인ㆍ고시ㆍ수리과정에서 요금인상을 최대한 억제,서비스요금의 안정을 기해 나가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