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몸속에 넣은 칩으로 차 문 여는 시대 옵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8면

한국전산원이 다음달 간판을 '한국정보사회진흥원'으로 바꿔 단다. 지난 8일 국회에서 한국전산원의 명칭 변경 등을 담은 '정보화촉진기본법 개정안'이 통과됐기 때문이다. 김창곤(사진) 원장은 "국무회의 의결과 개정안 공포 등의 행정절차를 거친 뒤 다음달 10일 새 간판을 달 예정"이라고 말했다. 1987년 설립 이후 19년 만에 이름을 바꾸는 것이다.

김 원장은 "해외에 나가면 '한국이 어떻게 갑자기 정보기술(IT) 강국이 됐느냐'는 질문을 자주 받는데 20년 전 미래를 내다보고 한국전산원을 발족시키는 등 국가정보화를 준비한 덕분이라고 설명한다"고 소개했다. 68년 체신부 사무관으로 출발한 그는 지금까지 국가정보화에 일생을 바쳐 왔다. 지난해 초 정보통신부 차관에서 물러난 뒤 정보화 산실인 전산원장 공모에 나서 낙점됐다. 요즘 정보화 전도사로 대학.기업 등을 상대로 강연에 열중하고 있는 그는 지난 4월 한국통신학회가 주는 '올해 정보통신 대상'을 받기도 했다.

김 원장은 "이제 '유비쿼터스(언제 어디서나 정보화)' 사회라는 새로운 20년을 준비하겠다"고 다짐했다. 인체에 초소형 칩을 넣어 열쇠를 갖고 다니지 않아도 신원이 확인돼 자동차 문을 여는 세상이란다. 이제까지 전산원이 초고속 인터넷망 구축 등 국가 전산화사업(하드웨어)에 치중했다면 앞으로는 유비쿼터스 문화(소프트웨어)를 보급하는 데 주력하겠다는 게 그의 계획이다. 그는 "우리나라 정보화 수준은 세계 최고"라며 "이제는 국민에게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탈바꿈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새로운 시대엔 새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 예로 GE의 의료기 사업을 들었다. GE가 의료기 정보화 시장을 장악한 것은 장비보다는 장비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를 온라인으로 값싸게 지속적으로 지원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김 원장은 "그동안 논란을 거듭했던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의 영문 명칭을 NIA(National Info-Society Agency)로 잠정 결정했다"며 "새로운 기업이미지(CI)는 11월 1일 중장기 발전 방안 발표와 함께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원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