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선 "생소한 표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6자회담 참가국들의 희망사항을 모두 내놓고 협의하는 '빅딜'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컨대 미국은 북한에 대해 ▶핵 개발 중단 ▶미사일 발사 유예 ▶달러 위폐 문제 등을, 북측은 ▶북.미 대화 ▶미국의 금융제재 중단 ▶에너지.경제 지원 등을 의제로 내놓고 6개국이 포괄적인 협상을 한다는 것이다.

한.미 정상은 9.15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 해결과 6자회담에서 합의된 9.19 공동성명 이행을 위해 '공동의 포괄적 접근 방안'을 채택하기로 합의했다고 송민순 청와대 안보정책실장이 밝혔다. 노무현 대통령을 수행 중인 정부 고위관계자는 회담 직후 "우리 정부가 포괄적 접근 방안을 미국.중국 측과 이미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을 6자회담 테이블로 끌어들이기 위해 '당근'도 들어 있는 방안을 미측과 협의하고 있다는 뜻이었다.

그러나 미국 측 얘기는 다르다. 포괄적 접근 방안이란 표현도 한국이 일방적으로 사용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

◆ 미 국무부 관리 "한국 측 표현 생소"=청와대가 내놓은 회담 결과 발표문에는 '포괄적 접근 방안'이란 용어가 들어 있지만 미 백악관의 발표문에는 그런 말이 없다. 이에 대해 국무부의 한 관계자는 "국무부에서는 포괄적 접근 방안이란 표현 자체가 아직은 생소한 상황"이라며 "그게 뭘 뜻하는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을 6자회담에 복귀시키기 위해 한국 측과 협의는 하고 있지만 미국의 대북 접근법에 어떤 큰 변화가 있는 건 아니다"고 덧붙였다. 그래서 미국이 '포괄적 접근 방안'에 얼마나 관심을 기울이는지 불투명하다는 관측이 워싱턴 정가에서 나온다.

워싱턴=이상일 특파원, 서울=이상언 기자

노 대통령 오늘 오후 귀국

노 대통령은 13박14일간 유럽 3개국 순방, 헬싱키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참석, 미국 실무방문 일정을 마치고 16일 오후 성남 서울공항으로 귀국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