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에게 필요한 세 종류 친구는?

중앙일보

입력

성공한 사람들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 '좋은 습관을 가진 사람들'이라고 한 마디로 말할 수 있다.

스티븐 코비가 집필한 책 <성공한 사람들의 7가지 습관>도 결국 성공요인을 좋은 습관에서 찾고 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성공의 비결은 좋은 습관에 달려있음을 알 수 있다. 좋은 습관을 가졌다는 것은 나쁜 습관을 많이 고쳤다는 뜻이기도 하다.

인간은 성장하면서 크고 작은 습관을 형성하게 된다. 좋은 습관도 있고 나쁜 습관도 있다. 이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다.

강점이 약점이 되고 약점이 강점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끊임없이 부족한 부분을 갈고 닦으면서 수련을 해야 한다. 공자는 덕을 쌓아 스스로 강해지는 '수덕자강(修德自强)'을 외치고 있다.

이를 위해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즉 "잘못이 있으면 그 잘못을 고치는 데 망설여서는 안 된다"고 가르친다. 어렸을 적엔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옆에서 허물을 지적해 주었다. 하지만 성인이 되고 나이가 들면 진정한 충고를 받을 기회가 많지 않다.

그래서 나이 들수록 허물을 고치기는 점점 어려워진다. 오죽하면 상대방과 원수가 되고 싶으면 자주 충고하라는 말까지 나왔겠는가. 남들이 자신에게 하는 비판이나 지적을 겸손하게 받아들이고 즉시 고칠 수만 있다면 성공은 보증수표나 다름없다. 물론 존경받고 훌륭한 인물이 되는 것도 당연하다.

허물을 고치려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처음에는 존경받다가 나중에 추락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산에 오르는 것보다 내려오는 것이 어려운 이유이기도 하다.

인간은 성취욕이 높아지면 교만심도 함께 높아진다. 사람은 남에게는 엄격하고 자신에게는 관대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자신을 견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놓을 필요가 있다.

일본 총리로서 큰 업적을 남긴 이케다 하야토(池田勇人)는 지도자로서 성공하려면 세 사람의 친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한 사람은 높은 경지의 종교인, 한 사람은 경륜 있는 언론인, 마지막 한 사람은 고명한 의사를 꼽았다.

그도 장관 시절엔 구설수가 많았으나 마음을 다져먹고 겸손한 자세로 노력한 끝에 7년 뒤 총리로 화려하게 등극할 수 있었다. 총리가 되자마자 관용과 인내의 기치를 내걸고 반대세력들을 햇볕정책으로 포용해 나갔다.

세 부류의 친구들이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존경받는 종교인은 번잡한 세상사에서 한 걸음 물러나 세상을 관조하고 사심 없이 일처리를 할 수 있는 마음을 얻게 해 주었다. 경륜 있는 언론인을 통해서는 형식적인 관청 보고와는 달리 가공되지 않은 여론을 듣고 기민한 대응이 가능했다.

그리고 좋은 의사를 통해 건강 상태를 빈틈없이 점검할 수 있었다. 이처럼 세 친구가 허물을 진단하고 감싸주면서 총리를 보좌했기에 적절한 시점에서 물러나 일본에서 존경받는 인물로 역사에 남을 수 있었다고 한다.

요즈음 건강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종합병원에서 정기검진을 받는다. 의사의 진단이 나오면 의사의 말은 지키지 않으면 큰 일 나는 줄로 알고 지키기 위해 눈물겨운 노력을 기울인다. 이처럼 육체적으로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보완하기 위해 처절한 노력을 쏟는 반면, 정신적인 허물에 대해서는 어떤지 스스로 자문자답해 보면 어떨까.

논어의 한 구절 한 구절은 자신의 잘못과 허물을 찾아 스스로 개선하는데 충실한 도우미 역할을 하고 있다. 자기 자신이 스스로 허물을 고칠 수 있다면 스스로 고치자. 그것이 어렵다면 주위에 진솔하게 부족한 점을 지적해 달라고 부탁하는 용기를 가져보자.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이기에 진실된 마음으로 다가가지 않으면 솔직한 답을 주지 않는다. 그 대상은 부모, 선생님, 선배, 후배, 친구, 배우자일수도 있다.

아니면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코칭 시장을 두드려보면 어떨까. 코치는 자신에 대한 문제점도 해결책도 자신이 전부 가지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다. 자신의 단점까지도 사랑을 가지고 지적해 줄 수 있도록 인생의 코치인 멘토가 있어야 한다.

진정한 용기는 잘못이 있을 때 시인하고 즉시 고치는 데 있음을 잊지 말자. 어떤 형태로든 過則勿憚改의 태도가 습관화될 때 참된 성공과 성숙한 인품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머니투데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