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협약 지침등 발빠른 행마/공식출범 한달맞은 경단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강성” 씻게 근로자대화에 주력
경제단체협의회(회장 이동찬 코오롱그룹회장)가 23일로 발족된지 한달을 맞아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조직정비에 주력해온 경단협은 23일 90년 단체협약체결 지침을 마련,각 기업에 보내는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전노협이 정부의 강력한 집회저지 방침에도 불구하고 22일 수원의 성대자연과학캠퍼스에서 노동관계자 6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습적으로 결성식을 갖고 공식출범해 이에 대한 경단협의 향후대응이 주목을 끌고 있다.
경단협은 노사안정 없이는 경제난국을 헤쳐나갈 수 없다는 재계의 공통된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결성됐으나 초기와는 달리 단체의 성격에 다소 변화가 있었다.
노조에 대한 강경대응이 대기업의 노사분규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재계의 우려를 반영해 노조와의 대화,근로자복지향상 대책마련쪽으로 사업방향을 선회한 것이다.
또 전국경제단체 총협의회로 명칭을 정했다가 전경협이라는 약칭이 전노협과 대비된다는 점을 들어 경제단체협의회(경단협)로 이름을 바꾼 것도 이같은 배경에서 였다.
현재 경단협에는 경제 6단체와 80여개의 업종별ㆍ지역별 경제단체가 참여,명실공히 사용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이익기구로 돼 있다.
경단협이 내걸고 있는 사업목표는 ▲임금교섭 및 단체교섭 지도 ▲산업별 노사대화체제구축 및 공동교섭 ▲해외연수등 노사합동 교육 ▲산업평화증진을 위한 대국민홍보 등이다.
경단협은 한국노총이 추진중인 국민경제 사회위원회에는 참여하겠다고 하면서도 「실세이기는 하지만 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단체와는 공식대화가 어렵다」는 방침을 밝히는등 전노협과는 대화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22일 발족된 전노협이 경단협해체를 주장하는등 노동운동권의 주목을 받고 있어 경단협이 앞으로 이를 어떻게 극복하고 산업평화에 기여할지가 관심거리다.<길진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