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오프 토론방] 도마 오른 문화계 편향 人事 - "코드로 편 가르기 문화계 갈등 커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새로운 문화정책에 대해 지난달 연극인 1백명의 반대 성명이 나오면서 문화단체 관련 편향 인사 논란이 본격적으로 벌어졌다. 편향이 심하다는 데 찬성한 네티즌들은 '정권과 코드가 맞는 사람으로 채워 넣는 것이 개혁인가'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과거의 편향된 예술계에 대한 청산 과정을 편 가르기로 매도하지 말라'는 반대 의견도 팽팽히 맞섰다.

김창우 기자

문화예술이 특정한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쓰이고, 행정이 그것을 조장하기 위한 후견인 역할을 하는 상황에서는 선동과 투쟁적 갈등이 더욱 예민한 문제로 떠오를 수밖에 없다. 같은 이념과 시각을 가진 특정 집단의 인물들이 행정의 주요 직책을 장악하는 것은 결국 문화행정의 방향과 목표, 각종 지원을 편향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가겠다는 의도를 드러내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영화진흥위원회는 '코드' 인사의 파장과 후유증이 얼마나 심각한가를 증명하는 사례다. 영화인 회의.민예총에 소속된 인물들이 진흥위원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영진위는 문화예술계 지형의 변화를 유도하는 중요한 근거지 역할을 하고 있다. 영화진흥자금은 특정단체의 이념적 교육실천 지원금으로 사용되고 있다.

민예총.문화연대 등을 중심으로 문예진흥원을 문화예술위원회로 개편해야겠다고 주장하는 이면에는 문예진흥원이 운영할 수 있는 자금과 행정력을 명실상부하게 장악하겠다는 의도가 감춰져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코드를 앞세운 편중인사의 문제는 단순히 사람을 바꾼다는 차원을 넘어 문화예술의 역할과 기능을 목적의 실현 수단으로 변질시키며 그것에 동의하지 않는 대다수의 문화예술인을 소외시킬 수 있다. 극단적인 대립과 분열을 조장한다는 점에서 심각하며 그 후유증은 깊은 상처로 남을 수 있다.

조희문 상명대 영화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