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따 되면 … 쉽게 자포자기한다

중앙일보

입력

'왕따'는 사회 곳곳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왕따를 당하는 사람은 자신을 스스로 포기하거나 심하면 자살에 이르기도 한다. 때로는 공격적으로 변한다. 이번 전방 부대의 총기 난사 사건도 왕따로 인해 나타난 하나의 현상일 수 있다는 것이 심리학자들의 견해다.

왕따와 정상인이 똑같은 사물이나 문제를 접할 때 어떻게 다른 행동을 보일까.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로이 바우마이스터 교수팀은 왕따가 자제력을 잃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자제하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이 때문에 도나캐나 행동한다는 것이다. 왕따에게 합리적이고, 보편적인 사회 규범에 걸맞은 행동을 할 것을 기대하기 쉽지 않다. 실제 실험에서도 왕따 그룹은 몸에 좋다는 음료는 맛이 없다는 이유로 먹는 둥 마는 둥 하는 반면 맛은 있지만 몸에 안 좋은 과자는 마구 먹어댔다. 그만큼 왕따는 자제력에 큰 문제가 생긴 것이다.

바우마이스터 교수는 왕따의 자제력을 알아보기 위해 서너 가지 실험을 했다. 첫 실험은 3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각 성격 검사를 한 뒤 실제 검사 결과와는 상관없이 한 그룹에는 '너는 평생 왕따로 살게 될 같다', 남은 그룹에는 '너는 평생 원만한 사회생활을 할 것 같다'고 각각 통보했다. 그런 뒤 몸에는 좋은데 맛이 고약한 음료수를 먹도록 하고, 먹는 양에 따라 돈을 주겠다고 약속했다. 그 결과 왕따 그룹은 정상 그룹의 3분의 1정도밖에 마시지 않았다. 몸에 좋다거나 돈을 준다거나 하는 유인책이 왕따에게는 먹히지 않았다. 정상 그룹은 자제력을 발휘해 왕따 그룹에 비해 평균 서너 배 많은 양을 마셨다.

그렇다면, 반대로 몸에는 안 좋지만 맛은 있는 과자를 먹도록 하면 어떨까. 먼저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을 적어내도록 했다. 그런 뒤 실제 적어낸 명단과는 전혀 다르게 조작해 피실험자 중 절반에는 '다른 사람들이 너하고는 같이 일하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각각 통보했다. 나머지 그룹에는 '모두가 너하고 일하고 싶어한다'고 일러줬다. 그런 뒤 과자 35개씩을 나눠 주고 맛을 평가하도록 했다. 그 결과 왕따는 평균 8.94개를, 정상 그룹은 4.40개를 먹었다.

과제 집착력과 주의집중에도 왕따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 실험 결과 나타났다. 피실험자들에게 답이 없는 난해한 퍼즐을 풀게 했다. 아무리 오래 붙잡고 풀어봐야 답이 없으므로 끈기를 시험하기에는 아주 좋다. 그 결과 왕따는 평균 21.35분을, 정상인은 27.67분을 버텼다. 왕따가 정상인에 비해 6분 정도 일찍 과제를 포기한 것이다.

다른 실험은 오른쪽 귀에는 정책 이슈를, 왼쪽 귀에는 영어단어를 들려주고 m 또는 p 가 들어 있는 단어를 받아쓰도록 했다. 주의집중력을 실험하기 위한 것이다. 오른쪽 귀에서 들리는 소리는 무시하고 왼쪽에 온 신경을 집중해야 제대로 단어를 분별할 수 있다. 여기서도 왕따는 정상인에 비해 점수가 좋지 않았다. 왕따는 평균 35.6개의 단어를, 정상인은 42.70개의 단어를 받아썼다.

바우마이스터 교수는 "왕따는 먹는데 뿐만 아니라 끈기와 주의집중력 등 다양한 행동에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 외에도 왕따는 전방 부대 총기 난사처럼 공격적인 성향이 나타나기도 하며, 무모한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왕따의 경우 자존심이 극도로 강한 경우가 많다는 것이 심리학자들의 연구 결과다. 강한 자존심을 남이 알아주지 않기 때문에 자신을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한다는 것이다.

왕따의 폐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왕따를 당하고 있는 사람의 자제력을 높일 수 있는 사회 심리적 대응 방안과 프로그램이 개발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도움말 주신분=성균관대 심리학과 최훈석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