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로나로 실직·인간관계 끊겨…행복마저 거리 둔 젊은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우울감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어나는 가운데 젊은 층이 ‘코로나 블루’ 타격을 가장 크게 받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영국 시사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노인들은 (비교적) 선방했지만, 젊은층은 비참해졌다”고 지난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영국 통계청, 연령대별 행복도 조사 #16~29세 행복도 급격히 떨어져 #가족 소통 늘고, 백신 우선접종 #노인, 행복지수는 영향 덜 받아

영국 통계청이 발표한 ‘영국 연령대별 행복도 조사’에 따르면 변화는 뚜렷했다. 2016년 10월부터 1년간 설문조사한 결과에서 연령 증가에 따른 행복도 변화는 완만한 ‘U자형’을 보였다. 이는 만 29세부터 점진적으로 수치가 줄다가 만 49세 이후로 꾸준히 상승하는 형태이다.

영국 연령대별 행복지수 변화.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영국 연령대별 행복지수 변화.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그러나 지난 1~3월 행복도 조사에선 젊은층의 행복도가 급격히 떨어지며 수직으로 상승하는 모습으로 변했다. 10점 척도의 조사에서 16~29세의 행복도는 6점으로 코로나19 이전보다 1.5점 떨어졌다. 같은 기간 70세 이상에선 0.5점가량 줄었다. 이코노미스트는 그 이유로 ▶일부 노인층에선 비대면으로라도 가족과의 소통이 늘었고 ▶백신 접종을 먼저 받는 등 사회적 관심을 더 받았으며 ▶이로 인해 자신이 더 건강하다고 느낀다는 점을 꼽았다.

29세 이하 연령층에서 행복도가 더 떨어진 건 실업과 사회적 관계 단절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코노미스트는 “특히 젊은 여성들이 힘든 시간을 보냈다”며 “(이들은) 사회적 거리두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 고객 응대 등 업무 영역에서 주로 일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영국 싱크탱크 재정연구전문연구소(IFS) 연구원 샤오웨이 수는 “사람들과 많이 만나던 계층이 더 많은 고통을 겪고 있는데 여성과 젊은 사람들이 더 많은 친구를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런 계층별 차이가 한국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날지는 미지수다. 이봉주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한국의 경우 연령대별 행복도가 U자형이 아닌 노년으로 갈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나온다”며 “노인 빈곤율 등 사회안전망이 여전히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김범중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도 “한국의 고령층은 다른 나라에 비해 행복도가 낮은 계층인 만큼 빠른 예방접종으로 복지 체계를 회복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엔 산하 자문기구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20일 세계 행복의 날을 맞아 발표한 ‘2021 세계 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20년 행복지수가 5.793점으로 95개국 중 50위에 올랐다. 가장 행복한 나라는 4년 연속 핀란드(7.889점)였다.

김홍범 기자 kim.hongbu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