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영업능력 95.1점…영업부로” 채용·배치 다 하는 AI 인사팀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LG유플러스는 2019년과 지난해 신입사원 채용 때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역량 면접을 실시했다. 채용 절차를 마무리한 뒤 인사 담당자들은 깜짝 놀랐다. AI 면접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지원자와 임원 면접에서 우수 평가를 받은 지원자가 거의 겹쳐서다. 이 회사에 AI 솔루션을 제공한 업체인 제네시스랩는 “밝고 소신이 뚜렷하며 자신감 있게 말하는 지원자일수록 1, 2차 합격률이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전했다.

서류·면접서 모든 단계로 AI 확대 #고성과 직원들 특징 데이터 학습 #회사 인재상 맞춰 직무능력 평가 #임원 면접, AI 평가 거의 겹치기도 #“사후 검증 등 신뢰성 보완해야”

#KT는 채용 전환형 인턴과 경력직원 300명을 채용 중이다. 15일부터 29일까지 지원서를 받는다. 서류 심사에는 AI를 활용한다. AI가 지원자의 자기소개서를 분석해 직무와 인성 부합도 등을 평가하는 식이다. 혹시 지원자가 자기소개서를 ‘복붙’(복사해 붙이기)한 것인지 표절 여부도 따져본다.

채용 과정에 AI 도입한 국내 기업.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채용 과정에 AI 도입한 국내 기업.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주요 기업과 기관의 채용 과정에서 AI의 역할과 비중이 커지고 있다. 대기업 계열사는 물론 병원·지방자치단체 등도 채용 과정에서 AI를 활용하는 곳이 늘고 있다. 서류 심사와 인·적성 검사, 면접 전형까지 단계별로 AI를 적용하는 범위도 넓어졌다.

제네시스랩은 LG전자·유플러스 등 LG그룹 계열사 다섯 곳과 CJ그룹, 서울시 등에 AI 면접 솔루션을 제공한다. 다른 AI 채용 솔루션 기업인 마이다스아이티는 JW중외제약·한미약품 등 450여 곳에 관련 서비스를 하고 있다.

AI 면접 솔루션은 업체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다. 제네시스랩의 ‘뷰인터HR 솔루션’은 영상으로 촬영한 인터뷰 이미지를 전문가 그룹이 평가하는 방식이다. 채용을 진행하는 회사의 인사 담당자와 삼성·LG 등 대기업 출신 전문가가 참여한다. 이렇게 축적한 데이터는 AI에 학습시켜 면접에 활용한다.

이영복 제네시스랩 대표는 “그동안 기업의 채용 과정은 전형별 ‘컷오프’(탈락)에 초점을 맞췄다”며 “AI 영상면접은 우수 인재를 마지막 단계까지 확보하는 것은 물론 채용 후 교육, (업무) 배치와 연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적성에 맞는 직무를 중시하는 ‘MZ세대’(1980년대 초반~2000년대 초반 출생자)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업무 배치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마이다스인(마이다스아이티의 자회사)의 AI 면접 솔루션은 미래 성과에 초점을 맞췄다. 업무에서 뛰어난 성과를 낸 직원들의 특징과 장점 관련 데이터를 축적했다고 한다. 지원자는 게임이나 질의응답 등을 통해 AI의 검사에 응할 수 있다. 그러면 AI가 미리 학습한 고성과자의 특징, 회사가 바라는 인재상 등과 맞춰보고 직무 적합도를 알려준다.

포스코ICT는 자체적으로 AI 면접 솔루션을 개발했다. 현재 포스코와 포스코ICT 채용에 활용 중이다. 우선 안면기술 인식을 통해 인터뷰 참가자가 실제 지원자가 맞는지 검증한다. 면접 과정에서 지원자의 표정이나 자주 사용하는 언어 키워드 등을 분석해 성향과 적성을 파악한다. 지원자의 답변을 문자로 전환해 채용 담당자에게 전달하기도 한다.

기업들은 다양한 AI 채용 솔루션을 도입하고 있지만 아직은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온다. 오성은 서울대 경력개발센터 전문위원은 “이른바 ‘고용 절벽’ 현상이 심화하면서 지원자들 사이에서는 채용 비리와 공정성에 대한 의문이 커진다”며 “기업 입장에서는 짧은 시간에 적합한 후보자를 선발하는 ‘매칭 플랫폼’으로서 (AI의) 역할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채용한 인력에 대해 사후 검증을 통해 AI 채용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보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고학수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한국인공지능법학회 회장)는 “현재 AI 면접은 영상을 통해 비언어적인 정보를 분석하는 형태”라며 “영상 면접에 적합하지 않은 이들을 배제하기 때문에 윤리성·형평성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김경진 기자 kjin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