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환경이 아프면 몸도 아프다] 수돗물 바이러스 검사는

중앙일보

입력

수돗물 바이러스를 둘러싼 논란은 1997년 불이 붙었다. 당시 서울대 김상종 교수가 서울시내 수돗물에서 무균성 뇌수막염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발표한 것이 계기였다.

이후 인체 유해성과 검출 방법의 신뢰성 등을 둘러싸고 수돗물 바이러스는 뜨거운 논쟁의 대상이 됐다. 정부도 실태 조사에 나섰다. 2001년 5월 정부는 전국 7개 지역 정수장과 가정 수돗물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관계부처 합동으로 서둘러 대책도 내놓았다.

2002년 8월 정부는 우선 각 정수장의 바이러스 처리 기준을 도입했다. 미국에 이어 세계 둘째다. 바이러스를 99.99% 제거할 수 있는 수준으로 소독제 농도와 소독 시간을 유지토록 했다. 또 원생동물인 지아디아를 99.9% 제거하는 처리 기준은 올 7월 도입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이와 함께 하루 5만㎥ 이상의 수돗물을 생산하는 정수장 69곳의 상수원수에 대해 2002년 9월부터 연 2회 바이러스를 모니터링하겠다고 약속했다.

2004년 초부터는 원생동물도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그 후 2년의 시간이 흘렀다. 얼마나 대비하고 있을까.

2001년 합동점검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된 41개 정수장 가운데 강원 양구.남면, 전남 함평 등 세 곳은 올 연말까지, 강원 방산은 2006년 목표로 시설 보완 공사가 진행 중이다.

또 바이러스 조사는 지난해 일부 지자체에서 시작했으나 대부분은 아직 준비단계다. 2006년 3월 마감까지 2년간 조사 기간을 채우기도 빠듯하다.

더 큰 문제는 실제 마시는 수돗물은 직접 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다는 점이다. 상수원수만 조사하고 문제가 심각한 경우에만 수돗물을 조사한다는 방침이기 때문이다. 실제 바이러스 제거율이 얼마인지는 따지지 않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