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노숙인에 PCR 이어 신속항원검사 적용한다

중앙일보

입력

29일 오전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노숙인시설인 '다시서기희망지원센터'가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해 운영이 중지돼있다. 뉴스1

29일 오전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노숙인시설인 '다시서기희망지원센터'가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해 운영이 중지돼있다. 뉴스1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노숙인이 연락두절 되는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정부가 노숙인에게 기존 PCR 검사 외에 신속항원 검사를 적용하기로 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1일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지난해 노숙인 시설을 중심으로 진단검사를 했고, 음성이 나오면 시설에 입소하는 조치를 진행했다”며 “신속항원검사를 보완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논의했다”고 밝혔다.

기존 확진 검사법인 PCR 검사는 결과가 나오기까지 하루 정도 시간이 필요하지만, 신속항원검사는 30분 정도면 바로 결과를 알 수 있다. 다만 신속항원검사는 정확도가 PCR보다 떨어진다.

지난달 31일 서울역사 근처에서 지내던 노숙인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후 연락이 끊겨 방역 당국이 뒤를 쫓고 있다. 31일 기준 서울역 노숙인시설 관련 코로나19 확진자는 46명으로 시설 종사자 2명을 제외한 44명이 노숙인이다. 이 가운데 소재를 파악할 수 없어 경찰에 신고가 접수된 노숙인은 3명이다.

윤태호 반장은 “거주지가 불명확한 거리 노숙인 등 검사 대기 시간에 일정 공간에 있기 어려운 경우 보조적으로 신속항원검사를 통해 관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뿐 아니라 노숙인이 많은 전국 지자체에서 기존 노숙인과 관련해 여러 방역 수칙을 적용했다. 하지만 조금 더 노숙인 지원센터, 시민단체 등과 협력해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게 관리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중대본은 두 차례 거리 두기 체계 개편과 관련한 공개 토론회를 할 예정이다. 첫 토론회는 2일 열리고 2차 토론회는 다음 주에 진행할 계획이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코로나19 3차 유행을 겪으며 나온 결과를 평가하고 오후 9시 이후 운영제한 등 방역 조치에 대해 업종별로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태윤 기자 lee.tae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