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구 데드크로스' 사상 첫 현실됐다…출생 27만〈사망 30만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해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가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고령화가 심화하면서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앞지르는 ‘인구 데드크로스’ 현상이 현실화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1인 가구’ 증가로 세대 수는 사상 최다를 기록했고, 인구의 절반 이상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수도권 집중 현상은 지난해보다 심해졌다.

2만838명 감소…출생아 20만명대 추락

사상첫주민등록인구감소.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사상첫주민등록인구감소.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3일 행정안전부의 2020년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1일 현재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총 5182만9023명이다. 지난해보다 2만838명(0.04%) 감소했다. 지난 10년간 주민등록 인구의 증가 폭이 점점 줄어들긴 했지만 ‘마이너스’를 기록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인구 감소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심화한 게 주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출생자 수는 27만6000명으로 사망자 수(30만8000명)보다 3만2000명 더 적었다. 인구 데드크로스 현상이 최초로 나타난 셈이다. 특히 출생자 수 감소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졌다. 2002~2016년까지 줄곧 40만명대를 유지하던 출생자 수는 2017년 처음으로 30만명대로 떨어진 후 단 3년 만에 20만명대로 내려앉았다.

사상첫인구데드크로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사상첫인구데드크로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60·70대 인구는 늘어난 반면 40대 이하 인구는 전반적으로 줄어 고령화 현상이 심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60·70대 인구는 전년보다 총 65만4596명이 증가했다. 40대 이하(0~49세) 인구가 전년 대비 65만3071명 줄어든 점을 고려하면 줄어든 40대 이하 인구를 60·70대가 그대로 대체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체 세대 40%가 나홀로족…수도권 인구 집중

 전체 인구는 감소했지만 ‘나홀로족’의 증가로 세대 수는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전체 2309만3108세대 중 39.2%에 달하는 906만3362세대가 1인 가구였다. 한 해 만에 57만4741세대(6.8%) 늘어난 것으로 사상 최다 기록이다. 지난해 증가율(5.0%)과 재작년 증가율(4.7%)도 크게 웃도는 것이다. 반면 가족 구성원이 4명 이상인 ‘4인 세대 이상’은 지난해보다 24만4418 세대(5.0%) 줄어들었다. 이에 평균 세대원 수는 2.24명으로 사상 최저치를 나타냈다.

지난해 1월 13일 오전 서울 명동 거리를 오가는 시민들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1월 13일 오전 서울 명동 거리를 오가는 시민들 모습. [연합뉴스]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인구는 점점 불어나는 반면 인구가 적은 지방 도시는 소멸위기에 처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수도권 거주 인구는 총 2603만8307명으로 전체 인구의 50.2%에 달한다. 10년 전인 2011년과 비교하면 수도권 거주 인구는 104만9939명 늘어나고, 수도권 거주 비중은 0.9%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전국 17개 시·도 중 세종·경기·강원·충북·제주를 제외한 12개 시·도의 인구는 모두 지난해보다 줄었다. 총 226개 시·군·구 중에서는 166곳에서 인구가 감소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부산(-15만9017명), 대구(-8만8925명), 광주(-1만3402명), 대전(-5만1721명) 등의 인구가 줄었다.

지방 소멸 위기…“지역별 맞춤 발전 전략”

2018년 6월 기준 전국 시ㆍ군ㆍ구의 소멸위험지수.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2018년 6월 기준 전국 시ㆍ군ㆍ구의 소멸위험지수.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행안부 관계자는 “지방 인구 감소는 출생, 사망 등 자연증감보다 전·출입에 따른 사회적 증감이 크게 작용한 것”이라며 “일자리 감소와 산업 구조 변화에 따라 기존 대도시 인구 유출이 본격화하고 있으며, 교육·의료 등 경제기반이 취약한 지역에서는 지방소멸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승우 행안부 지방행정정책관은 “30·40대와 10대 이하 인구 감소 폭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것은 고용정책에 시급히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라며 “노년층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대응해, 노인 대상 복지서비스 및 일자리 제공을 위한 정책 마련도 요구된다”고 말했다. 또 “저출산 및 인구 유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별 맞춤형 발전전략을 마련하는 등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허정원 기자 heo.jeongw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