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톤 동호인 10명중 7-8명꼴 통증에 시달려

중앙일보

입력

마라톤 동호인 10명 가운데 7-8명이 각종 통증에 시달리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일 스포츠의학 전문 클리닉인 `대구 닥터굿스포츠클리닉(원장 안재홍.재활의학과 전문의)'에 따르면 지난 3월부터 두 달간 대구시내 모직장 마라톤 동호회원 24명을 대상으로 부상 실태 등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75%인 18명이 마라톤을 시작한 이후 평균 2-3곳의 신체부위에 손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 부위는 발바닥과 발목, 무릎, 허리, 고관절 등 다양했으며 이 가운데 무릎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대부분 마라톤 동호인들이 부상에 시달리는 것은 충분한 근력을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마라톤을 시작한데다, 달릴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발의 아치에도 문제가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컴퓨터 운동장비(등속성 운동장비:Biodex)로 다리 근력을 측정한 결과 달릴 때 발생하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대퇴사두근력을 갖춘 동호인은 전체의 21%인 5명에 불과했다.

또한 오른쪽 다리와 왼쪽 다리의 근력 차이가 스포츠 활동에 필요한 정상범위(10%)를 초과, 달리기를 했을 때 손상을 일으킬 위험이 높은 사람도 18명에 달했으며 이 가운데 재활훈련이 필요한 21% 이상 차이가 난 사람도 10명이나 됐다.

전체의 75%인 18명은 걷거나 달릴 때 발생하는 지면 반력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 발의 아치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안재홍 원장은 "마라톤이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고 성인병을 예방하는데 아주 좋은 운동이지만, 대퇴사두근력 향상을 위한 웨이트 트레이닝과 스트레칭을 함께 해야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며 "통증이 나타나면 달리는 거리를 줄이고, 그래도 통증이 계속된다면 전문의의 진단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대구=연합뉴스) 문성규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