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가정 내 돼지고기 소비 12% 증가…가격 상승세 유지

중앙일보

입력

서울 시대 대형마트 축산식품 코너 모습. 뉴시스

서울 시대 대형마트 축산식품 코너 모습. 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지난해보다 가정 내 돼지고기와 한우의 소비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7일 농업관측본부의 축산관측 12월호에 게재된 미국 시장조사기관 ‘칸타월드패널 디비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7월 10일∼10월 11일 우리나라의 가구당 평균 돼지고기 구매량은 5.99㎏으로 지나 5.37㎏보다 11.5% 증가했다.

이중 국산 소비량은 3.40㎏에서 3.96㎏으로 16.5%, 수입산 구매량은 1.97㎏에서 2.03㎏으로 3.0% 증가했다.

가정 내 돼지고기가 소비가 늘어난 것과 달리 외식 수요는 크게 준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7∼9월 한식 음식점 생산지수는 지난해보다 19.2% 감소했고, 기관 구내식당업 생산지수 역시 19.6% 하락했다.

가정 내 소비가 계속 늘면서 돼지고기 가격은 강세를 유지했다. 지난달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당 4222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0%, 평년보다 3.0% 상승했다.

이 기간 국내산 삼겹살 소매가격은 100g당 2133원으로 지난해보다 27.0%, 평년보다 14.1% 뛰었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삼겹살 소매가격은 이달 들어서도 ㎏당 지난 1일 2만496원, 2일 2만476원, 3일 2만1651원 등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앞서 한돈 업계는 공급량이 충분해 올해 하반기가 되면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으나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가정 내 소비가 꾸준히 이뤄지면서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한우 가격 역시 가정 소비에 힘입어 증가세를 유지했다.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한 이후 가정 내 한우고기 평균 구매량 증감률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3월 6.1%, 4월 6.2%, 5월 7.2%, 6월 4.6%, 7월 9.8%, 8월 3.1%, 9월 -8.3%, 10월 15.7% 등 9월 한차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늘었다.

이에 따라 지난 1∼11월 한우 도매가격은 ㎏당 1만9917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2% 상승했다.

한편 가정 소비 증가로 인해 축산물 가격은 당분간 크게 흔들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달 돼지고기 예상 도매가격은 ㎏당 3700∼3900원으로 지난해보다는 높고 평년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한우는 내년 전체 평균 도매가격이 올해보다는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설 성수기 선물 수요가 생기며 일시적으로 오를 수 있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