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옥·생태도서관, 동네키움센터…서울시 '동네' 개발에 4300억원 쓴다

중앙일보

입력

서울시가 시내 곳곳의 '동네'를 개발하기 위해 곳간 문을 열기로 했다. 서울 안에서의 지역별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다. 걷기 편한 보행자 도로 건설부터 도서관이나 주차장, 역세권 개발 등에 책정된 금액은 4300억 원대에 달한다.

 서울시는 2일 “일상생활이 이뤄지는 3~5개 동(洞) 단위 공간인 지역생활권을 기준으로 한 '동네 단위'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오는 2030년까지 4323억원을 투입해 서울 전역에서 40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서울시는 고(故) 박원순 전 시장 시절이던 지난해부터 강북구 미아동과 중랑구 면목동, 은평구 응암동, 구로구 오류·수궁동, 금천구 독산동 등 5곳에 대한 지역생활권 사업을 시작한 바 있다.

서울시 지역생활권역별 주요사업 현황. [자료 서울시]

서울시 지역생활권역별 주요사업 현황. [자료 서울시]

 이번에 새롭게 선정된 15개 지역생활권은 성동구 금호·옥수동 등 동북권 6곳, 강서구 화곡1동과 영등포구 대림동, 동작구 노량진동 등 서남권 5곳, 서대문구 홍제동과 마포구 합정·서교동 서북권 2곳이다. 동남권에선 강동구 천호·성내동 1곳, 도심권에선 용산구 후암·용산 1곳이 선정됐다.

 서울시는 “낙후도와 잠재력, 지역 안배 등을 종합 고려해 선정했다”며 “발전이 필요하고, 잠재력과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의 활력을 끌어올려 지역균형발전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방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사업비 4300억원 어떻게 투자되나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 뉴스1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 뉴스1

 서울시는 지역생활권별로 지역 자족성 강화와 도서관과 주차장 등 생활 서비스 시설 확충, 지역 맞춤형 사업 등 3가지로 구분했다. 지역 자족성 강화가 필요한 곳은 용도지역 조정을 하고, 주민편의생활 시설이 부족한 지역에는 지하주차장, 도서관 등을 짓기로 했다. 또 지역 특색에 맞춰 창업 지원 시설을 세우거나 보행차도 개선 사업을 하기로 했다.

 서울시가 계획한 '동네 단위 개발 청사진'은 총 40개 사업으로 추려진다. 이 가운데 동북권에 19건이 몰려있다. 대표적인 사업은 아이들을 돌봐주는 청량리 우리동네 키움센터, 광역복합환승센터 등이다. 방학3동엔 한옥도서관과 생태문화도서관이 들어선다. 월계동은 광운대 역세권 개발에 맞춰 도서관과 공공체육시설, 창업 지원시설이 들어서게 된다.

 서남권에선 13건의 사업이 추진된다. 목동에선 유수지와 종합운동장 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낙성대에 주변은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통해 낙성 벤처밸리가 조성된다.

 사업비 4300억원에는 시비 2620억원과 구비 1649억원, 국비 약 50억원이 투입된다. 서울시는 재원 마련에 대해 “용도지역 조정과 공공기여 등을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라며 “생활서비스 시설의 경우, 시설 간 복합화를 통해 재정 지출을 최소화하고 편의성을 높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서울시는 오는 2022년까지 발전이 필요한 서울 62개 지역생활권에 대한 계획도 세우기로 했다.

 김학진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서울시 지역생활권계획은 실질적인 지역전문가인 주민이 직접 계획수립 과정부터 참여해 만들어가는 '우리 동네 미래 발전지도'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며 “2022년까지 62개 지역생활권 실행방안을 수립해 지역균형발전 효과를 극대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현예 기자 hy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