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식 "세월호 단식하던 文, 피살 공무원 아들에 공감해달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근식 경남대 교수. 최정동 기자

김근식 경남대 교수. 최정동 기자

국민의힘 서울 송파병 당협위원장인 김근식 경남대 교수가 6일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세월호의 슬픔에 공감하고 애통하고 분노했던 과거 문 대통령의 반의반이라도 피살 공무원의 아들의 슬픔에 공감해 달라"고 비판했다.

김 교수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어린 아들의 절절한 편지에 문 대통령도 화답했다"며 "늦었지만 다행"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해경의 조사를 기다리자는 건 월북시도로 최종판명 날 때까지 기다리라는 건가"라고 되물었다.

앞서 북한군의 총격으로 숨진 해양수산부 소속 공무원의 아들 A군이 문 대통령에게 보낸 자필 편지가 전날 공개됐다. 고교 2년생인 A군은 "아빠가 잔인하게 죽임을 당할 때 이 나라는 무엇을 하고 있었나"라면서 정부가 부친을 월북자로 규정한 데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북한군의 총격을 받고 숨진 공무원 이모씨의 아들이 자필로 작성한 편지. 이 편지는 5일 이모씨의 친형인 이래진씨가 공개했다. [형 이래진씨 제공]

북한군의 총격을 받고 숨진 공무원 이모씨의 아들이 자필로 작성한 편지. 이 편지는 5일 이모씨의 친형인 이래진씨가 공개했다. [형 이래진씨 제공]

문 대통령은 하루 만인 이날 A군에게 "아버지를 잃은 아들의 마음을 이해한다"며 "나도 마음이 아프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해양경찰이 여러 상황을 조사 중에 있다. 해경의 조사 및 수색 결과를 기다려보자"며 "어머니, 동생과 함께 어려움을 견뎌내기 바라며 위로를 보낸다"고 덧붙였다.

이를 두고 김 교수는 "이미 해경은 도박 빚까지 거론하며 피살공무원을 월북자로 몰아갔고, 어린 아들은 아버지가 절대 월북할 분이 아니라고 절규하고 있는데, 대통령이 해경의 조사 결과를 기다리자고 하면 어린 아들의 슬픔을 위로한다면서 결국 어린 아들의 슬픔에 대못을 박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그는 "2014년 세월호 당시 문재인 의원은 단식까지 하며 수색작업과 진상규명을 요구했다"면서 "2020년 문재인 대통령은 그저 북만 쳐다보고 기다리자는 건가?"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2014년 세월호에 애통하며 분노했던 당시 문재인 의원의 반의반이라도 2020년 피살공무원의 죽음과 어린 아들의 슬픔에 공감해 달라"며 "2014년 문재인과 2020년 문재인이 달라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서울 송파병 당협위원장인 김근식 경남대 교수가 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다. [페이스북 캡처]

국민의힘 서울 송파병 당협위원장인 김근식 경남대 교수가 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다. [페이스북 캡처]

함민정 기자 ham.minj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