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맑고 푸른 대한민국 공기업시리즈 ⑦ 환경] 온난화 막고 경기 살리는 그린 뉴딜 … 디지털 뉴딜과 함께 가야 성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1면

지난해 12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세계를 휩쓸고 있다. 세계 각국은 코로나19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봉쇄(lockdown)를 진행하거나, 외출 금지령을 내렸다.

코로나 팬데믹 속 화두로 떠오른 ‘녹색 회복(Green Recovery)’ #도시 봉쇄로 온실가스 감소했지만 세계 각국의 경제 침체 면치 못해 #한국판 뉴딜 5년 간 160조 원 투자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에너지 거래 등에 빅데이터 활용을

공장 가동이 줄고, 교통량이 줄면서 세계 각국의 대기오염은 눈에 띄게 줄었다. 중국 우한의 경우 2015~2019년 춘제(春節)를 포함한 3주간의 초미세먼지(PM2.5) 평균 오염도보다 올해 봉쇄 기간에는 ㎥당 23.2㎍(마이크로그램, 1㎍=100만분의 1g), 32.4%가 감소했다. 지난해 가을 ‘가스실’이란 오명을 뒤집어썼던 인도 델리의 경우 초미세먼지 오염도가 10분의 1 수준으로 개선됐다. 한국도 지난 3월 전국의 초미세먼지(PM2.5) 평균 농도는 ㎥당 20.39㎍으로 지난해 3월의 37.37㎍/㎥보다 45%가 줄었다.

온실가스도 감소했다. 지난 4월 종합환경과학(Science of Total Environment) 온라인판에 공개된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19 도시 봉쇄로 인해 유럽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40% 이상 줄어 전체적으로 3억9000만톤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미국에서도 봉쇄 기간에는 교통량 감소로 평소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40% 줄어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온실가스 최대 배출국인 중국도 지난 2월과 3월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대 18%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코로나19 봉쇄로 환경은 개선됐지만, 세계 각국의 경제는 침체를 면하지 못했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가운데 가장 나은 성적을 얻었지만, 2분기 마이너스 3% 성장률을 기록했다.

세계 각국은 많은 돈을 쏟아부으면서 경기 부양에 나섰다. 유럽연합(EU) 지도자들은 지난 7월 경제를 되살리는 데 7500억 유로(약 1030조원)를 쏟아붓기로 합의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개선됐던 환경은 도시 봉쇄가 풀리고, 경기 부양책이 나오면서 곧바로 종전 상태로로 되돌아갔다. 봉쇄 기간에 전 세계에서 줄인 온실가스는 2030년 기준으로 지구 기온을 겨우 0.01도 낮추는 데 그칠 것이란 평가도 있다.

이 때문에 눈앞에 닥친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대유행)으로부터의 회복과 더불어 기후 재앙을 예방하자는 취지에서 ‘녹색 회복(Green Recovery)’이 화두로 등장했다. 녹색 회복은 기후변화 대응과 경제성장(재생에너지 산업, 녹색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그린 뉴딜(Green New Deal)’과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유럽에서는 이미 지난해 말 경제·산업 시스템의 대전환을 통해 2050년 탄소 중립이란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그린 딜’의 목표를 제시했다. 미국에서도 2018년부터 민주당을 중심으로 탄소배출 제로 달성과 소외 계층 보호를 위한 일자리 창출 등 정의로운 전환 강조하고 있다.

지난 7월 한국 정부도 2025년까지 160조 원을 투자해 19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고용사회안전망 강화 등 세 개를 축으로 삼았다. 코로나19 위기를 기회 삼아 한국을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 탄소 의존 경제에서 저탄소 경제로, 불평등 사회에서 포용사회로 도약시키겠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한국판 뉴딜 중에서도 그린 뉴딜은 태양광·풍력·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뿐만 아니라 공공임대주택·어린이집·보건소 등 노후 건축물 23만호를 제로 에너지화해 도시·공간·생활 인프라의 녹색 전환에 나선다.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태양광·풍력·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생산, 전체 에너지 소비가 제로가 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을 위해선 전기차 113만대, 수소차 20만대를 보급하고, 노후 경유차 116만대 조기 폐차를 지원한다.

하지만, 그린 뉴딜에 대해 개선해야 할 점도 지적되고 있다. 이유진 지역에너지 전환 전국네트워크 공동대표는 "그린 뉴딜은 한국사회에서 기후위기 문제를 논의하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지만, 탈 탄소 사회로의 전환에 대해 사회적 합의가 이뤄졌는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그린 뉴딜 각 세부 분야별로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에 대한 의견 수렴이 필요하고, 그렇게 해야 다음 정권에서도 그린뉴딜에 계속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명주 명지대 건축학부 교수는 "노후 수도관에 누수 확인 센서만 달아서는 안 되고, 노후관을 교체한 후 센서를 달아야 누수가 방지되는 것처럼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을 따로따로 추진할 것이 아니라 하나로 연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건축물 리모델링할 때 건물이 에너지를 얼마나 소비하고 생산하는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해 여기서 나온 빅데이터를 에너지 거래 등에 활용하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며 "지역에 맞는 사업을 자율적으로 선택, 상향식으로 추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