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한은화의 생활건축

경복궁 옆 동네를 바꾼 건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한은화 기자 중앙일보 기자
한은화 경제정책팀 기자

한은화 경제정책팀 기자

경복궁의 서쪽 문인 영추문이 있는 동네, 서울 종로구 통의동은 건축하기가 까다로운 동네다. 조선 시대 창의궁 터였고, 일제강점기 때 동양척식주식회사가 관사를 지었다. 광복 이후 집과 길의 소유권 관계가 제대로 정비되지 못해 골목길이 개인 땅인 경우도 많다. 그 길에 있는 집은 낡아도 새로 짓기가 쉽지 않다. 동네 안쪽 집들이 낡은 채로 있거나, 리모델링 정도만 하는 까닭이다.

이런 통의동에 오랜만에 새 건물이 들어섰다. 공간의 힘이 상당히 세다. 동네 안쪽 좁은 골목길에 있는데도 주말 아침부터 사람들이 찾아든다. 건축사사무소 SOA(강예린·이치훈)가 설계한 4층 건물 ‘브릭웰(Brickwell)’이다. 건물은 건축주·건축가·시공사, 이 셋의 합이 맞아떨어졌을 때 만들어질 수 있는 좋은 결과물이 무엇인지 보여준다. 건축주는 사옥으로 쓸 이 건물에 이기심부터 앞세우지 않았다. 주변을 살폈다. 건물 옆에는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가 고사한 백송 터가 있다. 지금은 밑동만 남아 있지만 이를 안타까워한 주민들이 주변에 여러 그루의 백송을 심어 놓은 터다. 건축주는 이 백송 터와 조화를 이루고, 개구리 울음소리가 들리는 정원이 있길 원했다.

서울 종로구 통의동 ‘브릭웰’의 공공정원. 신경섭 작가

서울 종로구 통의동 ‘브릭웰’의 공공정원. 신경섭 작가

건축가는 이 염원을 디자인으로 풀었다. 백송 터와 잘 연결될 수 있게 지상 공간의 절반을 비웠다. 담도 세우지 않았다. 땅의 양쪽으로 골목길이 나 있어 건물의 비워진 1층은 누구나 자연스럽게 드나드는 통로가 됐다. 더욱이 이 열린 공간에 물이 있는 정원을 꾸며놨다. 개구리의 정원이다.

건축가는 한발 더 나아가, 이 정원을 건물 안으로 끌어들였다. 정원을 아래에 두고, 네모난 건물의 일부를 꼭대기(4층)까지 원통형으로 뻥 뚫었다. 이 뚫린 원형 중정을 둘러싸고 층마다 테라스가 있다. 여기서 정원을 내려다보면 우물(well) 속 같다. 네모 속 동그라미가 주는 공간감과 긴장감이 상당하다.

건물은 외장재로 벽돌을 썼다. 벽돌 사이에 모르타르를 채워 쌓는 전통적인 습식 공법과 벽돌이 구슬인 양 파이프에 꿰듯 쌓는 건식 공법을 함께 썼다. 벽돌은 마치 목걸이처럼 꿰어져, 보는 각도에 따라 물결치는 것 같다. 벽돌을 잘 쓰지 않아서 일 잘하는 벽돌공이 희귀해진 요즘이다. 이치훈 소장은 “끈기 있는 시공사가 매일 현장에서 벽돌공·석공·금속팀 등과 협의하며 이 디테일을 풀어간 덕에 완성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건물은 이런 노력을 인정받아 최근 서울시 건축상 최우수상을 받았다. 수상과 별개로 잘 지은 건축물이 동네의 풍경을 어떻게 바꾸는지 보여준다. 건축이 꼭 자연을 밀어내고 파괴해야 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것, 자연을 품고 더 만들며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한은화 경제정책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