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독]한미 연합훈련, 작년엔 '동맹' 빼더니 올핸 '한미' 뺐다

중앙일보

입력

18일 시작된 한ㆍ미 연합훈련의 공식 명칭에 지난해와 달리 ‘한·미’라는 표현이 들어가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동맹'이란 표현이 사라진 데 이은 것이다.

美·日은 대규모 공중 연합훈련 실시

19일 소식통은 “올해 연합훈련은 ‘20-2 후반기 연합지휘소훈련’으로 명명해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연합’이란 단서를 달았지만 그 주체는 명시하지 않은 것이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명칭에 연합이란 말이 들어있어 굳이 한·미라는 표현이 없어도 문제가 없다는 판단"이라고 말했다.

지하 벙커에서 한ㆍ미 군 장병이 연합훈련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 미 공군]

지하 벙커에서 한ㆍ미 군 장병이 연합훈련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 미 공군]

한·미 연합훈련의 명칭이 바뀌기 시작한 건 지난해부터다. 3월에 했던 ‘키 리졸브(Key Resolve)’ 훈련은 ‘동맹(Alliance)’으로 이름을 바꿨다. 통상 4월에 하던 한ㆍ미 연합기동훈련인 ‘독수리훈련(Foal Eagle)’은 실시하지 않았다.

8월에 하던 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은 ‘후반기 한미 연합지휘소훈련’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당초 ‘19-2 동맹’이란 명칭으로 준비하다 훈련 시작을 하루 앞두고 급작스럽게 바뀌었다. 당시 군 관계자는“훈련 명칭을 통합하는 조치였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한미 훈련에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북한에 트집거리를 잡히지 않으려 ‘동맹’이란 표현을 피했다는 해석도 군 안팎에서 나왔다.

그러다 올해에는 훈련의 주체인 ‘한·미’라는 표현이 빠진 것이다.

국방부는 올해 훈련을 앞두고 만든 일부 인쇄물에는 훈련 명칭을 ‘2020-2 CCPT’로 단축해 표기했다. 여기서 ‘CCPT’는 연합지휘소훈련을 의미한다. 한ㆍ미 군 당국은 2018년 이후 연합 지휘소 훈련만 할 뿐 대규모 연합 기동훈련(FTX)은 유예하고 있다. FTX훈련은 소규모(대대급 이하)로 나눠 진행한다.

신범철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외교안보센터장은 “훈련 명칭을 두고 논란이 나오는 건 애초 군 당국이 훈련의 목적과 내용을 명확히 설명하지 않은 탓"이라고 지적했다.

‘한미연합훈련 시점’미 폭격기 6대 동시 출격.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한미연합훈련 시점’미 폭격기 6대 동시 출격.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훈련 시작을 하루 앞둔 17일 북한의 대외선전 매체인 통일신보는 ‘전쟁위기 불러올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하라!’는 제목의 기사를 냈다. 앞서 13일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도 훈련이 ‘8월 전쟁위기설’을 고조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아직까지 조선중앙통신, 노동신문 등 관영 매체 차원의 공식적인 입장 발표는 나오지 않았다.

이번 훈련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증 여파 등에 예년의 절반 수준으로 축소해 진행된다. 24시간 쉴 틈 없이 진행하던 훈련 시간은 반나절 수준으로 줄였다. 22일까지는 방어훈련, 24일부터 28일까지는 반격훈련으로 열흘간 진행한다.

훈련에 맞춰 미군의 전략무기도 한반도 주변을 비행했다. 17일 정밀 유도무기와 핵무기를 탑재할 수 있는 미군의 전략 폭격기 6대가 출동했다. 미국 본토와 괌, 인도양 디에고가르시아 기지에서 출격한 B-1B 전략폭격기 4대와 B-2 스피릿 스텔스 폭격기 2대다. 이날 훈련에는 일본 항공자위대 소속 F-15J 전투기도 동참했다.

박원곤 한동대학교 교수는 “한국이 이번 전략 폭격기 훈련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북한의 반발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용한·이근평 기자, park.yongh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