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구강암 2번 이겨내니 폐암 왔다…10명중 1명꼴 '2차암' 선고

중앙일보

입력

“두 번, 세 번이면 어때요. 고치면 되지요.”
최근 15년간 세 차례 암과 싸워 기적처럼 이겨낸 최영준(71·사진) 씨는 이렇게 덤덤하게 말했다. 최씨는 2004년 이후 세 개의 암을 앓았다. 당시 잇몸에 뭐가 나서 입병인 줄 알고 약국에서 연고를 사다 발랐는데 보름이 지나도록 나을 기미가 없었다. 칫솔질할 때 아픈 부위를 건드리면 피가 많이 났다. 이상하다 싶어 집 근처 대학병원을 찾아 조직검사를 했더니 치은암이었다. 의사는 당장 수술을 권했다.

암 치료 성적 향상되며 생존자 중 2차암 인구 늘어 #"암 완치돼도 꾸준히 검진 받아야"

“고혈압이 있는 것 빼고는 워낙 건강해 병원에도 잘 안 갔는데 암일 줄은 꿈에도 몰랐죠. 식구를 데리고 와서 각서 쓰고 수술하라고 하더라고요.”

최근 15년간 세 차례 암 선고를 받고 이겨낸 최영준(71)씨와 아내. 사진 최영준씨 제공

최근 15년간 세 차례 암 선고를 받고 이겨낸 최영준(71)씨와 아내. 사진 최영준씨 제공

최씨는 국립암센터에서 12시간에 걸쳐 한쪽 아래턱뼈를 잘라냈다. 20년 피운 담배를 끊었다. 해마다 정기검진도 빼놓지 않고 받았다. 2012년 혀 밑에 암(구강저암)이, 2015년 폐암이 찾아왔다. 둘 다 수술을 받았다. 최씨는 “두 번의 구강암 수술과 비교하면 폐암 수술은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느껴지더라”며 “폐를 잘라내서 그런지 호흡이 좀 가쁘긴 하지만 운동을 열심히 한다”고 말했다.

최씨의 구강저암과 폐암은 치은암과 무관하게 새로 생겼다. 재발 암이 아니라 2차암이다. 11일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암 환자 22만명(2017년 발생)을 분석한 결과 1만6000명(7.3%)이 2차암 환자로 나타났다.

최근 15년간 세 차례 암 선고를 받고 이겨낸 최영준(71)씨와 아내. 사진 최영준씨 제공

최근 15년간 세 차례 암 선고를 받고 이겨낸 최영준(71)씨와 아내. 사진 최영준씨 제공

국립암센터 이은숙 원장은 “치료 성적이 향상되면서 생존자가 매년 증가하고 이에 따라 2차암 인구가 느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암 경험자는 다시 암에 걸릴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 국립암센터가 미국 국립암연구소의 암 통계 데이터(SEER)를 활용해 1973~2005년 미국 암 환자의 2차암 발생 현황을 봤더니 일반인보다 위험이 1.14배 높았다.

이은숙 원장은 “같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유전적인 요인에 따라 암 발병률이 다르다”며 “한번 암에 걸렸다는 건 위험 요인을 다양하게 갖고 있다는 뜻이다. 유전 요인이나 생활 습관 때문에 다른 암에 걸릴 위험이 크다”고 말했다.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 등의 영향으로 정상세포의 유전자가 변이돼 2차암이 생기기도 한다.

전문가들은 암 경험자의 이차암 발병 위험이 높은 만큼 정기적인 검진을 꼭 받으라고 강조한다. 사진 unsplash

전문가들은 암 경험자의 이차암 발병 위험이 높은 만큼 정기적인 검진을 꼭 받으라고 강조한다. 사진 unsplash

1차암이 구강암인 사람에게 2차암이 올 위험이 크다. 국립암센터가 1993~2014년 구강암 환자 1만5261명을 분했더니 1096명(7.19%)에게서 2차암이 생겼다. 일반인에 비해 1.47배 높다. 1차암이 두경부암인 경우는 6.35%, 전립샘암은 4.7%, 자궁경부암은 3.68%였다. 미국 SEER 자료에서도 다른 암과 비교해 구강암·인두암을 첫 암으로 겪었을 때 이후 다른 암이 발생할 확률이 가장 높았다.

국립암센터 전경. 연합뉴스

국립암센터 전경. 연합뉴스

최성원 국림암센터 구강악안면외과 교수는 “구강암 환자 가운데 입 안 다른 부위에 또 구강암이 생기는 경우가 20% 정도 된다”라며 “담배가 입·식도·상기도 등의 점막에 영향을 미쳐 식도암이나 폐암 등 2차암을 유발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전문가들은 완치 후에 기존 암을 검사하는 추적 검사뿐 아니라, 다른 암 검진도 꼬박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최 교수는 “암이 완치되면 ‘병원에 안 가도 되겠지’라고 여기는데 암을 앓았다면 매년 위내시경이나 폐 컴퓨터 단층 촬영(CT) 등을 받아야 완치 후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