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독]인천공항 14억 11년째 안갚는 '수상한 회사'…뭔 관계?

중앙일보

입력

인천국제공항공사(인국공)가 10년 넘게 한 기업으로부터 약 14억원의 채무액을 받지 못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예상되는 대규모 적자를 국제선 공항이용료(PSC) 인상 등으로 만회하기 전에 채무 관리부터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일 인국공 관계자와 노조 등에 따르면 2009년 공사는 경인 지역 공동어업보상 관련 분담금 14억원을 ㈜선광에 낼 것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선광 측은 분담 기준과 분담 금액에 대해 동의할 수 없다는 의사를 밝힌 뒤 현재까지도 채무액을 지급하지 않고 있다. 이후 인국공 측이 분담액 이의 제기에 대한 설명과 정산 계획 수립을 선광 측에 요구했지만, 이 회사는 3억원은 부담할 수 있다고 답을 한 뒤 이후 분담금은 아직 내지 않고 있다.

중앙일보가 입수한 선광 측이 2010년 1월 인국공에 보낸 ‘경인 지역 공동어업보상 보상금 정산’ 공문엔 “보상금 회수에 어려움이 예상될 경우 강제적 회수 운운은 당사로서는 매우 부당한 처사”라며 “이견에도 불구하고 협약체 구성원으로서 책임을 다하고자 일정액을 선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광은 보상금 정산 차원에서 3억원을 내겠다고 했지만, 이후 입금 명세는 없다.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건설과 제2여객터미널 확장을 골자로 하는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오는 2024년 이 사업이 완료되면 인천공항은 연간 1억명이 넘는 여객을 수용하며 세계 3대 공항으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해 11월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 기공식'을 열었다. 사진은 인천국제공항 4단계 건설사업 전체 조감도. 연합뉴스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건설과 제2여객터미널 확장을 골자로 하는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오는 2024년 이 사업이 완료되면 인천공항은 연간 1억명이 넘는 여객을 수용하며 세계 3대 공항으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해 11월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 기공식'을 열었다. 사진은 인천국제공항 4단계 건설사업 전체 조감도. 연합뉴스

인국공 관계자는 “인천공항 건설 때 어업권 보상금을 공사가 먼저 집행하고 다른 기관과 분담해 나중에 돌려받는 방식이었다”면서 “2009년 14억원을 변제하라는 공문을 선광 측에 보냈지만 이후 소송 등의 대처가 안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업 보상 문제는 워낙 복잡한 사안들이 얽혀 있지만 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 것은 명백한 업무 실수”라며 “관련 팀에서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당시 인천공항공사는 공항 및 신공항고속도로, 송도신도시 건설 사업 등으로 인한 경인지역 어업 피해에 대한 보상을 진행했다. 인천공항은 영종도ㆍ용유도 등 4개의 섬 일대 공유 수면을 매립해 건설됐기 때문이다. 1991년부터 어업 피해 조사 용역을 진행했고, 2000년까지 단계적으로 강화군 해역과 김포시 일원 등에 어업권 보상 작업이 진행됐다.

이 과정에서 지역 어민에 대한 이중 보상 방지와 관련 기관의 보상비 적정 분담을 목적으로 인국공은 한국도로공사, 인천경제자유구역청, 한국수자원공사, ㈜선광 등과 협의체를 만들어 보상비 분담 방안을 수립했다. 수출입 화물 운송과 항만 하역 등의 사업을 하는 선광은 ‘한국건설자원공영’을 인수하면서 이 회사가 갖고 있던 토지 등의 권리 의무를 승계하는 과정에서 경인지역 공동어업보상 협의체에 들어갔다.

구본환 인천공항 사장이 직원들의 항의를 받는 모습. 연합뉴스

구본환 인천공항 사장이 직원들의 항의를 받는 모습. 연합뉴스

한편 인국공 노조에 따르면 인천공항공사 고위직이 ㈜선광의 특수관계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인국공 관계자는 “고위직이 선광의 주식을 보유한 특수관계인인 것은 맞지만, ㈜선광 경영과는 무관하다”면서 “어업권 보상금은 10년도 더 된 일인데, 고위직 선임은 비교적 최근이라 분담금 미납 문제와 어떤 관련도 없다”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공사 재무 관리자와 선광 관계자가 내주 만나 채무 문제를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는 이에 대해 ㈜선광 측으로부터도 해명을 듣고자 전화를 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곽재민 기자 jmkwa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