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중에 되레…김두관 "평양·서울에 연락사무소 2곳 두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남북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지만 오히려 개성공단 공장을 가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18일 북한이 개성공단 내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데 대해 “이 기회에 개성에 공동연락사무소 1개를 둘 것이 아니라, 평양과 서울에 남북의 대사관 역할을 할 연락사무소 2개를 두는 협상을 시작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제안했다.

또한 “무엇보다 한반도의 문제는 우리가 주도적으로 결정한다는 일관적인 말과 행동이라는 원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며 “미국과의 협력은 참고사항이지 윤허나 지시가 아니라는 자세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속내는 국민들이 더 잘 안다”며 “‘경제 제재 핑계 대지 말고 남북 경협에 적극적으로 나서면 대화하겠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남북협력은 비핵화와 함께 가야 한다는 미국 입장에서 변화도 느껴진다”며 “어제 미국은 공식 논평에서 남북협력 기조에 대해 전폭적 지지 입장을 밝혔다”고 했다.

김 의원은 개성공단 재가동과 금강산 관광 재개도 촉구했다. 그는 “우리보다 빨리 북한군 막사와 포대가 설치되면 우리는 정말로 다시 냉전시대로 돌아간다. 최소한 이것은 막아야 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힘들고 어려워도 결단해야 한다”며 “정부가 개성공단과 금강산을 열어 남북이 손잡고 함께 평화의 길로 나서야 한다”고 했다.

사진 SNS 캡처

사진 SNS 캡처

이어 “이번 기회에 북한에게 본때를 보여야 한다는 분들께 말씀드린다”며 “휴전선으로부터 40㎞ 안에 2500만명이 살고 있고, 북한의 장사포 사정거리 안에 3000만명이 산다. 감정은 감정이고 현실은 현실”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청와대 외교·안보 진용을 다시 점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북 도발 사태에 책임을 지고 사임 의사를 밝힌 것에 대해 “안타깝지만, 대통령이 말한 뜻을 뒷받침하지 못한 국무위원은 누구라도 책임을 지는 것이 정부 입장에 숨통을 틔우는 길”이라고 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