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BSI 68.9…외환·금융위기 때보다 회복 속도 느리다

중앙일보

입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26일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ㆍBSI) 조사 결과, 6월 전망치가 68.9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BSI는 매출액 기준 상위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BSI가 기준치(100)보다 높을 때 경기를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 수가 부정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음을 의미한다.

6월 전망치는 지난달(61.8)보다 7.1p 상승한 수치이지만, 여전히 70선을 넘지 못하며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부문별로는 내수(71.4), 수출(71.1), 투자(77.0), 자금(78.2), 재고(104.8), 고용(85.2), 채산성(76.2) 등 전 부문에서 기준선 미만을 기록했다. 그중 재고가 100이 넘었단 건 재고 과잉 상태를 의미다. 업종별로는 자동차(42.1), 의류ㆍ신발(50.0), 의료ㆍ정밀기계(50.0), 비금속 광물(55.0), 금속 및 금속가공(55.2) 순으로 낮은 전망치를 기록했다.

자금 전망은 11년 만에 최저치

특히, 제조업의 자금 사정 전망(73.9)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월(66.4) 이후 1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영업활동 부진으로 현금 흐름이 위축되고, 금융기관의 대출 여건도 악화한 데 따른 것으로 한경연은 분석했다. 실제 일부 기업들은 신용등급 하락으로 대출연장에 실패하고 해외 매출채권 회수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료: 한국경제연구원]

[자료: 한국경제연구원]

과거보다 경기 전망의 회복 속도가 더딘 점도 부담이다. 한경연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는 2009년 1월 최저치(52.0)를 기록한 후 두 달 만에 24.1p가 상승했지만, 이번 코로나19 위기 때는 지난 4월 최저치(59.3)를 기록한 후 두달 동안 9.6p 상승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가 장기화하고 있어 언제 경기가 회복할지 예상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기업들이 경제 충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자금지원 절차 간소화 등 적극적인 유동성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수기 기자 lee.sook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