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어떻게 데이터로 코로나 잡았나, OECD 30개국 100명에게 전수

중앙일보

입력

이달 12일 OECD '의료의 질과 성과작업반 회의'에 참석한 각국 전문가들이 김선민 의장(심평원장)의 발표를 경청하고 있다. 심평원 제공

이달 12일 OECD '의료의 질과 성과작업반 회의'에 참석한 각국 전문가들이 김선민 의장(심평원장)의 발표를 경청하고 있다. 심평원 제공

한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활용한 '데이터 전법'이 세계에 소개됐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어느 나라보다 짜임새 있게 코로나에 대응했다는 평가를 받아왔고 이를 세계에 알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의료의 질과 성과 작업반(HCQO)' 김선민 의장(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은 최근 온라인으로 개최한 정기회의에서 한국의 데이터 전법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에는 30개의 OECD 회원국, 100여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할 정도로 열기가 높았다. 코로나19에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는 한국과 호주, 핀란드가 발표했다. 김 원장은 2019~2020년 의장을 맡고 있으며 내년까지 연임이 확정된 상태다.

김 의장은 환자의 ID만 있으면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중복 복용 체크), 의료자원 관리, 의료의 질 평가, 의료비용 확인, 약품 분배 등 5개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출입국 정보, 사망신고 자료, 주민등록 자료, 의약품 승인·허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코로나19 고위험군 조기 발견 체계를 소개했다. 법무부·외교부·항공사·해운사·통신사에서 질병관리본부로 입국 정보를 보내면 심평원의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와 연결한다. 이렇게 하면 전국 병의원과 약국을 방문하는 환자의 해외여행 이력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코로나 고위험국 여행자가 의료기관에 방문하면 즉시 체크해 보건소 선별진료소로 보내 검사해서 조기진단한다. 또 확진자가 발생하면 어느 병원을 들렀는지 확인할 수 있고, 어떤 약을 썼는지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환자이력통합관리 시스템은 중증환자(의료기관), 경증환자(생활치료센터), 무증상 자가격리자(보건소)로 나뉘어 관리한다. 이에 맞게 환자 치료 방향을 정하고, 환자 규모나 치료 현황을 모니터링한다. 확진자 사후관리에도 활용한다.

OECD '의료의 질과 성과작업반회의' 의장인 김선민 심평원장이 이달 12일 30개국 100여명의 전문가가 참여한 화상회의에서 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의 코로나 대응 전법을 소개하고 있다. 심평원 제공

OECD '의료의 질과 성과작업반회의' 의장인 김선민 심평원장이 이달 12일 30개국 100여명의 전문가가 참여한 화상회의에서 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의 코로나 대응 전법을 소개하고 있다. 심평원 제공

김 원장은 음압격리병상 모니터링 시스템도 설명했다. 전국의 의료기관별 음압격리병상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또 기계호흡, 에크모(체외순환장치) 등의 위중환자 장비 사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을 활용해 중증 환자 병상을 효율적으로 배정한다.

의약품정보시스템으로는 코로나19의 치료약제(35개) 보유업체 정보를 제공한다. 이 시스템으로 치료약제 보유 현황과 재고를 파악한다.

마스크 중복구매 확인시스템으로 생산 수량, 판매처별 재고현황, 개인별 구매내역을 파악한다. 이 시스템 덕분에 마스크 판매처를 파악하고 민간 지도 업체와 연계해 약국별 재고를 실시간으로 제공했다.

심평원의 공공데이터를 공개함으로써 5분 단위로 공적 마스크 판매 현황, 선별진료소 위치와 검체채취 가능 여부, 국민안심병원 리스트 등의 정보를 제공했다.

심평원은 "의약품안전서비스에 여행자 이력 정보시스템을 얹어 위험 국가 방문한 적이 있는 환자를 병원 데스크에서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나라는 한국이 거의 유일하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각국 참석자들은 "코로나 때문에 의료시스템이 붕괴하면서 외상환자나 심혈관·뇌혈관 환자 케어가 무너지고 있다. 회복에 1년 넘게 걸릴 것"이라고 우려했다고 한다.

신성식 기자 sssh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