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연장 추진하는 미래한국당 원유철 대표…합당시기 묻자 “그게 문제”

중앙일보

입력

미래통합당의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이 오는 19일 전당대회를 열기로 의견을 모았다. 당헌상 5월 29일까지인 원유철 대표의 임기 연장안을 처리하기 위해서다. 미래한국당 관계자는 “의견 수렴을 더 해봐야 하지만 현재 원 대표의 임기를 '2년'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 대표는 13일 조수진 대변인을 통해 낸 입장문에서 “통합당의 지도부가 선출되면 소통과 협의를 통해서 통합의 방식과 시기, 절차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미래한국당의 총의를 모으는 일정(19일)을 12일 최고위에서 잠정 결정했다”며 “불가피하게 당헌 등의 보완이 이뤄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해 미래한국당은 15일 당선인 간담회를 열고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원유철 미래한국당 대표가 지난 12일 오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원유철 미래한국당 대표가 지난 12일 오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조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통합 논의가 늦게 시작되면서 21대 국회 시작 이전에 마무리되기 좀 어렵게 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며 “현 지도부 임기인 5월 29일 이후 통합 논의를 이어가는 문제가 현실적으로 대두됐다. ‘개문발차(開門發車)’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21대 국회 개원(5월 30일) 이후에도 한동안 미래한국당이 지금처럼 독자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얘기다.

원 대표는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내 임기 연장은 통합당과의 합당을 위한 절차 중 하나로 이해해달라”며 “내 임기 내(5월 29일) 합당이 안 되면 지도부가 없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합당 때까지 당 대표 임기를 연장해 놓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한국당 관계자만을 대상으로 의견수렴 절차를 갖는 것에 대해선 “합당을 하는 건데 당 대표 혼자 도장을 찍을 수는 없는 일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문제는 합당 시기다. 미래한국당은 합당 시기를 못박지 않아 의구심이 일고 있다. 원 대표는 이날 통화에서도 “합당 시기가 문제인데 정무적으로 판단하겠다”고만 했다.

원 대표는 지난 12일 기자들과 만나 “통합당과 반드시 합당할 것”이라면서도 “비례 정당을 만들 수밖에 없는 제도를 만든 더불어민주당이 결자해지 차원에서 준연동형제 비례대표제를 폐지하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조해진 미래통합당 당선인 [뉴스1]

조해진 미래통합당 당선인 [뉴스1]

이를 두고 정치권에선 “독자 노선을 걷기 위한 명분 쌓기냐”, “시간벌기용 아니냐”는 얘기가 나왔다. 미래한국당이 총선에서 확보한 의석은 19석으로, 원내 교섭단체(20석)에 근접해 있다. 미래한국당이 독자적인 교섭단체가 될 경우 원내 3당으로서 원 구성 협상,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처장 추천, 국고보조금 등의 이점을 노릴 수 있다.

조해진 통합당 당선인은 이날 라디오에 나와 “원 대표가 헷갈리게 하는 발언을 하는 것 같다”며 “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를 합당의 조건처럼 이야기하는데, 이게 통합에 걸림돌이 되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다”고 날을 세웠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지난 8일 선출 직후 “미래한국당과의 합당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했다.

안철수 대표가 있는 국민의당과의 연합 가능성 측면에서도 '독자 노선' 논란은 잦아들지 않고 있다. 이날도 정운천 미래한국당 최고위원은 언론 인터뷰에서 “국민의당(3석)과의 공동 교섭단체 구성도 논의해 봐야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 이후 논란이 커지자 정 최고위원은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통합당과의 합당 협의를 원칙으로 하되 다른 여러 경우의 수를 언급하는 과정에서 나온 얘기였을 뿐”이라고 했다.

현일훈·김기정 기자 hyun.il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