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K방역, 신한류 산업으로 키운다…'포스트 코로나' 산업 전략 추진

중앙일보

입력

정부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신(新)산업전략을 제시했다. K-방역, K-바이오 등을 글로벌 상품으로 만들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피해가 컸던 주력 사업은 신산업으로 재편한다. 미국·중국 등 주요국이 1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데다 앞으로 감염병 사태가 다시 발생할 수 있어 코로나19 이전과 다른 산업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세 번째)이 6일 중구 대한상의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 및 산업·기업 위기 대응반 1차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세 번째)이 6일 중구 대한상의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 및 산업·기업 위기 대응반 1차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K바이오로 '신한류'…산업 지능화 추진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6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 및 산업·위기 대응반' 첫 회의를 열고 코로나19 이후 5대 분야에서 추진할 8대 대응과제를 발표했다. 이 자리에는 현대자동차 글로벌경영연구소, SSG닷컴, SK바이오사이언스 등 주요 기업과 대한상의, 한국항공협회 등 경제단체 관계자가 참석했다.

산업부는 이날 회의에서 코로나 이후 큰 변화가 예상되는 5대 분야는 보건·환경, 경제활동, 기업경영, 사회가치, 교역환경을 꼽았다. 이 가운데 보건·환경 분야에서 K-방역과 K-바이오를 '신한류'로 육성한다. 세계 2위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을 토대로 글로벌 백신 생산 중심 국가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백신 위탁생산시설인 미생물실증지원센터와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복안이다. 성 장관은 "진단키트 워크스루, 접촉차 추적조사 등 성과가 입증된 K-방역 시스템의 세계 진출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감염병이 다시 발생해도 생산 차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산업 현장 복원력도 높이기로 했다. 로봇과 인간이 함께 작업하는 방식으로 산업 현장을 설계하고, 생산라인을 재배치하는 등 산업 지능화를 통해 감염병으로 인한 생산 차질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글로벌 가치사슬(GVC·기업의 제품·서비스 생산이 여러 국가에 걸쳐 일어나는 것) 변화와 공급망 재편에 대비해 해외 진출 기업의 유턴도 활성화하기로 했다.

코로나19 지역거점병원인 대구 중구 계명대 대구동산병원에서 의료진이 근무 교대를 위해 격리병동으로 향하고 있다. 뉴스1

코로나19 지역거점병원인 대구 중구 계명대 대구동산병원에서 의료진이 근무 교대를 위해 격리병동으로 향하고 있다. 뉴스1

비대면 산업 육성…에너지 전환도 가속

5G 등 디지털 인프라를 활용한 비(非)대면 산업의 선점에도 나선다. 온라인 유통, 에듀테크, 스마트 헬스케어 등 관련 사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 저(低)유가 시대에 대비해 재생에너지와 수소 경제 등 에너지 전환도 가속한다. 철강 산업은 수소환원 제철, 석유화학은 고부가 화학 소재, 정유산업은 바이오 연료 등 새로운 에너지 기반으로 산업구조를 혁신한다는 계획이다.

자동차·철강 등 주력 산업 역시 수소 연료전지 핵심 부품 제조와 고부가 강판 등으로 과감하게 재편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주력 수출품인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경우, 중견 파운드리 기업(제조를 전담하는 생산 전문 기업)이 신규 생산라인 일부를 중소 팹리스 기업(파운드리 기업이 제조하는 반도체의 설계 전문 회사)에 개방해 월 3만장 규모 웨이퍼 생산라인 중 1만장 이상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정부는 글로벌 교역에서의 한국의 리더십도 강조했다. 무역 장벽이 부활하는 등 경제가 '지역 블록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방역 모범국 위상을 활용해 추가적인 장벽 설정을 중단하는 등 양자 및 다자협의체를 통해 보호무역을 타파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산업부는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 각 분야 정책·전략을 시리즈로 준비 중"이라며 "종합 전략인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가칭)'을 하반기 중에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0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 그래픽=신재민 기자

2020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 그래픽=신재민 기자

성 장관은 "세계적 소비시장인 미국의 실업률은 2026년에야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다는 전망도 있다"며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사실은 분명한 만큼, 과거와는 다른 '뉴노멀'을 준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정원 기자 heo.jeongw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