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해상→연안부근'···日, 北미사일 표현 갑자기 바꿨다, 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이 지달달 29일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가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이었다고 확인했다. 사진은 발사 이튿날 노동신문에 실린 사진. [연합뉴스]

북한이 지달달 29일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가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이었다고 확인했다. 사진은 발사 이튿날 노동신문에 실린 사진.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최근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발표 표현을 바꾼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노리는 것처럼 들린다" #"정확하고 알기 쉬운 표현이다" #'비상체' 표현에 자민당서 비판 #"北 위험성 국민에게 제대로 못 전해"

29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기존에 낙하지점과 관련해 사용하던 ‘일본해상(동해상)’이란 표현 대신 ‘연안 부근’이란 표현을 쓰고 있다. 또 북한이 발사한 것이 탄도미사일로 단정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던 ‘비상체(飛翔体)’란 표현도 ‘북한에 의한 발사 사안’으로 바뀌었다.

예를 들어 지난달 9일 북한이 미사일 발사시험을 했을 때 일본 정부는 발표문에 “일본해상에 낙하”라고 썼지만, 지난달 21일 발표문엔 “북한 동북부 연안 부근에 낙하”라고 명기했다.

이와 관련, 일본 정부 관계자는 아사히에 “낙하지점을 범위가 넓은 ‘일본해상’으로 하면 일본을 노리고 있는 것처럼 들린다”며 “실제로는 일본에서 꽤 멀리 떨어져 있고, 미사일 방향도 일본을 향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외무상도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연안 부근이) 정확하고 알기 쉬운 표현이다.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바로 서쪽에 낙하한 상황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비상체’란 표현이 발표문에서 사라진 것은 자민당 내 비판과 관련이 있다고 신문은 보도했다. 아리무라 하루코(有村治子) 참의원이 페이스북에 “‘비상체’라고 발표해선 미사일 기술을 급속히 발전시키고 있는 북한의 위험성을 국민에게 적확하게 전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는 것이다.

이어 지난달 9일 열린 자민당의 북한 미사일 관련 대책본부 간부 모임에서 본부장인 니카이 도시히로(二階俊博) 간사장이 “북한이 쏠 때마다 한 번도 빼놓지 않고 회의를 연다. 이처럼 무책임한 것은 없다”고 밝힌 것도 표현 변경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김상진 기자 kine3@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