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코로나 실직 가속화…“일자리 400만개 사라질 위기”

중앙일보

입력

코로나19가 확산세를 보인 지난 21일 파리의 한 고급 상점 앞에서 노숙자가 쉬고있다. [AP=연합뉴스]

코로나19가 확산세를 보인 지난 21일 파리의 한 고급 상점 앞에서 노숙자가 쉬고있다. [AP=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유럽 내 고용 위기가 빨라지고 있다. 지난 한 달 동안 유럽에서 최소 1800만명이 달하는 실업자가 발생했으며 실업자 수는 앞으로 최대 6000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리시 수낙 영국 재무장관은 27일(현지시간) 영국 의회에서 “코로나19 여파로 일자리 400만 개 이상이 임시 해고에 들어갔고, 기업의 25%가 활동을 중단했다”며 고용위기 상황을 언급했다.

수낙 장관에 따르면 지난 3월부터 이날까지 50만 개 기업이 ‘고용유지 지원금’을 신청했다. 고용유지 지원금은 대량 실업을 막기 위해 유급 휴직을 선택한 기업에 임금의 상당 부분을 지원하는 제도다. 코로나19로 유급 휴직에 들어간 노동자들에게 임금의 80%, 최대 2500파운드(약 381만 원)를 지급하는 조건으로 기업에 지원금을 제공한다.

수낙 장관은 “그나마 고용유지 지원금 제도 등으로 많은 일자리가 유지돼 수백만개의 일자리와 기업을 살린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봉쇄’ 조치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완전 고용은 보장할 수 없다”며“고용 위기에 따른 국민의 불안감은 이해하지만 가장 중요한 일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영국 정부는 앞으로 중소기업들의 대출 한도도 2000파운드(약 304만원)에서 5만 파운드(약 7610만원)로 늘리고, 대출 첫해 무이자 제도를 적용하는 등 재정 지원책을 실시할 계획이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봉쇄조치 전(위)과 후 런던의 풍경. [AP=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봉쇄조치 전(위)과 후 런던의 풍경. [AP=연합뉴스]

코로나19로 인한 실업 위기는 영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컨설팅 업체 매킨지는 보고서 지난 22일 유럽연합 27개 회원국의 실업률이 11%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보고서를 제출했다. 코로나19로 각국이 봉쇄 조치를 시행하며 생산과 소비가 마비됐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인건비 부담과 함께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독일·프랑스·스페인 3개국의 고용유지 지원금 규모만 1350억 유로(약 18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각에선 고용유지 지원이 일시적인 충격을 줄일지는 몰라도 장기 지원은 불가능할 거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영국 정부의 경우 노동자 830만명이 정부로부터 3개월 동안 지원을 받는다면 비용이 420억 파운드(약 63조9000억원)에 달해 국가채무 급증 원인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또 봉쇄조치 완화로 경제활동을 재개할 경우 코로나19가 재유행할 수 있다는 위험도 있다. 이 때문에 소비자들이 경계심을 갖게 된 여행업이나 요식업 등에서는 일자리가 상당수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매킨지의 수전 룬드는“소비자의 행동에 많은 것들이 좌우될 것이며, 구조적 변화가 있을 것”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가 2024년에나 풀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