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별개로 양평·군포·이천·여주·광명·안양·의왕 자체 재난기본소득 지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경기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광역지자체 중 처음으로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기로 결정하자 경기지역 기초단체들도 잇따라 동참하고 나섰다. 경기도가 지급하기로 한 1인당 10만원에 더해 5만원에서 최대 15만원을 추가 지원한다.
26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현재까지 양평·군포·이천·여주·광명·안양지역에서 재난기본소득 지급 계획을 내놨다.
가장 많은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기로 한 지자체는 이천시다. 무려 15만원이나 준다. 이천시민 21만5000여명의 투입되는 관련 예산만 324억원으로 이천시는 추산했다.
엄태준 이천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지역경제 위기상황이 IMF 때보다 더 심각하게 느껴지고 있어 지역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재난기본소득이 꼭 필요하다"며 "(경기도처럼) 3개월이 지나면 소멸하는 지역 화폐로 다음 달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주시는 시민 1인당 10만원의 재난기본소득을 준다. 현재 여주시 인구는 11만1008명으로 재난기본소득 지급에 111억여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양평군도 군민 1인당 10만원의 재난기본소득을 준다. 경기도가 지급하는 10만원을 합치면 20만원씩 받는 셈이다. 양평군 인구는 11만6902명으로 관련 예산으론 117억이 투입될 예정이다.

 성남시 지역화폐인 성남사랑상품권[연합뉴스]

성남시 지역화폐인 성남사랑상품권[연합뉴스]

광명시와 군포시, 안양시는 5만원의 재난기본소득을 준다. 경기도 지급분까지 15만원이다.
광명시 인구는 31만6000여명인데 광명시는 관련 예산 158억원을 재난관리기금으로 충당할 예정이다.
군포시는 시민 27만5857명에게 138억원을 투입해 5만원씩 지급한다.
안양시도 시민 56만3066명에게 예선 285억원을 투입해 5만원씩 지급한다.
의왕시도 5만원의 재난기본소득을 시민들에게 주기로 했다. 관련 예산은 82억원이다.

이들 지자체의 재난기본소득은 모두 지역 화폐로 제공된다.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처럼 받은 뒤 3개월 안에 소진해야 한다.
앞서 광역지자체로는 경기도가, 기초지자체로는 울산 울주군과 부산 기장군 등이 재난기본소득 10만원 지급 방안을 발표했다.

최모란·채혜선 기자 mor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