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부마항쟁 국가기념일’ 지정에 민주당 “당연한 결과. 환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부산일보 사진기자 출신인 정광삼 한국사진작가협회 부산시지회 자문위원이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에 기증한 40년 전 부마민주항쟁 당시 사진. [연합뉴스]

부산일보 사진기자 출신인 정광삼 한국사진작가협회 부산시지회 자문위원이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에 기증한 40년 전 부마민주항쟁 당시 사진. [연합뉴스]

부마항쟁의 국가기념일 지정에 부산지역 정치권에서 ‘환영’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17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부마민주항쟁 기념일 제정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령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부마민주항쟁’이 발생한 지 40년 만에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부마민주항쟁은 경남지역(부산·마산)의 시민과 학생들이 유신독재에 항거해 발생한 대규모 민주화운동이다. 지난 1979년 10월 16일 부산대 학생들이 유신체제에 반발해 거리로 뛰쳐나오며 시작돼 같은 달 18일 창원까지 확산됐다.

‘부마민주항쟁’은 이후 발생한 민주화운동으로 그 정신이 이어져 4·19 혁명, 5·18 광주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과 함께 한국 현대사의 4대 민주항쟁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4대 민주항쟁 가운데 유일하게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지 않아 지역에서는 국가기념일 지정을 위한 추진위를 발족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왔다.

1979년 10월 부산과 마산 지역에서 일어난 ‘부마항쟁’은 유신체제의 종말을 알린 역사적 사건이다. 부가가치세 신설 직후에 발생한 물가 폭등 현상이 심화되면서 유신체제에 대한 국민적 반감이 커졌다. [연합뉴스]

1979년 10월 부산과 마산 지역에서 일어난 ‘부마항쟁’은 유신체제의 종말을 알린 역사적 사건이다. 부가가치세 신설 직후에 발생한 물가 폭등 현상이 심화되면서 유신체제에 대한 국민적 반감이 커졌다. [연합뉴스]

이 같은 노력이 이날 성과로 나오자 지역에서는 환영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부산시는 18일 오후 3시 30분 부마항쟁 발원지인 부산대 10·16기념관에서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 환영 기자회견’을 개최한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오거돈 부산시장, 김경수 경남도지사, 허성무 창원시장, 송기인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이사장 등 5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행사에서 참석자들은 국가기념일 지정을 위한 국민들의 지지에 감사 인사를 전하고, 국가기념일 지정을 환영하는 퍼포먼스도 펼칠 예정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부산시당은 이날 각각 ‘환영’ 논평을 냈다.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은 이날 성명을 통해 “군부 독재정권에 맞서 민주주의를 요구하며 들불처럼 일어섰던 부산과 마산 시민들의 자랑스러운 역사가 문재인 정부 들어 마침내 공식 인정받은 것이다”며 부마항쟁의 국가기념일 지정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 부산시당은 “1979년 부마항쟁은 이후 1980년 5.18 광주 민주화운동과 1987년 6월 항쟁, 2016년 촛불혁명으로 이어졌고 부산은 민주화의 성지라는 영예로운 이름을 갖게 됐다”며 “하지만 지난 40년 동안 부마항쟁에 참여했다 희생당한 분들에 대한 역사적 평가나 명예회복, 보상 등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동안 우리 사회가 온 국민이 다 인정하는 부마항쟁조차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지 못할 만큼 정치적, 이념적으로 편향돼 있었다는 반증이다"며 "40년 만에 비로소 부마항쟁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결과이며 기념일 지정을 계기로 희생자에 대한 명예회복 등 속도감 있는 후속 조치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정의당 부산시당도 “부산시민의 민주주의를 향한 뜨거운 바람과 도시를 달궜던 민주항쟁이 그에 걸맞은 격을 갖추게 됐다. 당연한 일이고, 환영할 일”이라며 “민주시민들의 희생을 바탕으로 오늘의 나라, 오늘의 부산이 있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