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월급쟁이 빚 5958만원 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우리나라 월급쟁이들이 은행이나 제2금융권에서 빌린 평균 대출 규모는 4076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임금근로자 부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 금액은 2017년 같은 기간보다 281만원(7.4%) 늘어난 4076만원이다. 2017년 6월(3591만원) 이후 꾸준히 오름세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6000만원에 육박하는 5958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근로자 평균 대출은 4076만원 #대기업 6515만원, 중기의 2배 #숙박음식업 종사자 연체 급증

대출 잔액 기준 연체율은 지난해 말 0.56%로 전년보다 0.05%포인트 증가했다. 대출 차주 수 기준으로도 같은 기간 100명당 2.33명에서 2.39명으로 늘었다. 월급쟁이 100명 중 2명꼴로 빌린 돈을 제때 갚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임금근로자 개인대출 및 연체율,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임금근로자 개인대출 및 연체율,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경제 상황별로 살펴보면 소득이 높을수록 평균 대출은 증가하고 연체율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 소득 1억원 이상의 평균 대출은 1억4066만원이었지만 연 소득 3000만원 미만의 평균 대출은 2600만원이었다. ▶3000만~5000만원 미만은 4633만원 ▶5000만~7000만원 미만은 7774만원 ▶7000만~1억원 미만은 9943만원으로 조사됐다. 직장인들은 평균적으로 연소득 수준의 금액을 대출받고 있다는 의미다. 반면 연체율은 1억원 이상 0.11%, 3000만원 미만 0.70% 등 소득이 많을수록 낮았다. 일자리 특성별로는 대기업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은 6515만원, 연체율은 0.27%이었고 중·소기업 임금근로자는 각각 3190만원, 0.88%였다.

산업별로도 평균 연봉이 높고 안정적인 일자리일수록 대출이 많았다. 반면 연체율은 영세업종 비중이 큰 부동산업(1.54%), 숙박음식점업(1.30%), 건설업(1.01%) 순으로 높았다. 특히 지난해 경기 침체와 최저임금 인상 등 여파로 어려움을 겪었던 숙박·음식점업의 연체율이 전년보다 0.24%포인트나 올랐다. 연체율이 두 번째로 많이 늘어난 도소매업(0.10%포인트)·부동산업(0.10%포인트)보다 두 배 이상 연체율이 치솟은 것이다. 기업 종류별로 보면 자영업자가 운영하는 사업장인 ‘개인기업체’에 소속된 임금근로자들의 대출과 연체율이 가장 빠르게 올랐다.

우영제 통계청 빅데이터통계과장은 “연체율이 경기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숙박음식점업 등은 그 영향이 있었다”며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낮은 경우에 비은행권 등에서 대출을 받는 경우가 많아 연체할 가능성이 커지는데, 이런 점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세종=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