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아베의 데칼코마니…한·일 갈등이 지지율 올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오전 인텍스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공식환영식에서 의장국인 일본 아베 신조 총리와 악수한 뒤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오전 인텍스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공식환영식에서 의장국인 일본 아베 신조 총리와 악수한 뒤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지지율은 데칼코마니 관계일까. 일본이 한국을 수출 특혜 대상인 '백색국가'에서 제외한 뒤 문재인 대통령이 일본에 대한 강경 대응을 주문하자 국정운영 지지율이 반등하는 모습이 관찰됐다. 아베 총리 내각에 대한 지지율은 설문조사별로 엇갈린 결과가 나와 혼조세를 보였지만 백색국가 제외에 대해선 높은 지지율이 확인됐다.

산케이신문이 후지뉴스네트워크(FNN)와 지난 3~4일 18세 이상 일본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고 6일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하는 조치에 대한 지지 응답은 67.6%로 집계됐다. 지지하지 않는다는 비율은 19.4%로 일본 국민 10명 중 7명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베 내각 지지층 중에선 81.0%가 한국 백색국가 제외 조치를 지지했는데, 비지지층 응답자 중에서도 절반이 넘는 55.2%가 찬성한다는 의견을 냈다.

산케이신문의 여론조사에선 아베 내각에 대한 지지율은 46.6%를 기록해 참의원 선거 직전 보다 5.1%p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베 내각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이들의 비율은 38.1%로 4.8%p 올랐다.

지난 5일 NHK가 2~4일 전국 18세 이상 2254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하고 보도한 내용에서도 한국 백색국가 제외를 찬성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 중 절반이 넘는 55%가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뺀 것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39;한국 화이트리스트 배제&#39; 일본정부 규탄하는 시민단체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아베규탄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화이트리스트 배제 입장발표 기자회견에서 참가자가 규탄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 일본 정부는 한국을 수출 화이트 리스트 명단에서 제외하는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안을 의결했다. 2019.8.2   ondol@yna.co.kr/2019-08-02 14:01:36/ <저작권자 ⓒ 1980-2019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39;한국 화이트리스트 배제&#39; 일본정부 규탄하는 시민단체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아베규탄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화이트리스트 배제 입장발표 기자회견에서 참가자가 규탄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 일본 정부는 한국을 수출 화이트 리스트 명단에서 제외하는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안을 의결했다. 2019.8.2 ondol@yna.co.kr/2019-08-02 14:01:36/ <저작권자 ⓒ 1980-2019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산케이신문 여론조사와 달리 NHK 여론조사에서는 아베 내각에 대한 지지도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아베 내각의 지지율은 49%로 집계돼 3주 전(45%)보다 4%p 올랐다. 지지하지 않는다는 대답은 31%로 직전 조사 결과(33%)와 비교해 2%p 줄었다. 아베 내각에 대한 지지율 상승은 지난달 21일 일본 참의원 선거 승리와 지난 2일 한국에 대한 2차 경제 보복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문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일본의 경제보복이 이어짐에 따라 'V'자 곡선을 그리며 반등했다. YTN 의뢰로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511명을 대상으로 7월 5주차 여론조사를 한 결과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49.9%로 집계됐다. 직전인 7월 4주차와 비교해 2.2%p 내려갔다. '국정 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1.8%p 오른 45.5%였다. 문 대통령 국정 지지율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하락세를 보이며 지난달 30일 49.4%에서 31일 48.5%로 떨어졌다.

그러나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에 대한 청와대의 강경 대응 방침이 나오자 주 후반인 1일에는 50.6%를 기록했다. 다음 날인 2일에는 51.3%로 올랐다. 리얼미터는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하락했다가 일본의 추가 보복에 따라 V자형으로 반등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에 대한 강경 대응 주문이 지지율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