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日 전략물자, 국제 核암시장 거쳐 北으로 갔을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바른미래당 하태경 의원이 12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일본 경시청 출처인 '대량살상무기 관련 물자 등 부정수출 사건 목록'을 공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바른미래당 하태경 의원이 12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일본 경시청 출처인 '대량살상무기 관련 물자 등 부정수출 사건 목록'을 공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은 14일 일본의 유력 언론매체인 산케이신문 보도를 인용하며 “일본 제품들이 국제 핵 암시장을 통해 북한으로 넘어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09년 3월 21일 일본 산케이신문의 ‘소리 없이 다가오는 일본제 핵병기의 위협’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인용해 이같이 말했다.

하 의원에 따르면 산케이신문은 “북한을 포함한 친북 국가들은 핵 암시장(파키스탄)을 통해서 물자를 전매할 가능성이 높다”는 일본 경찰관계자의 발언을 전하며 “최근 일본기업이 특수자석이나 전자현미경 등 핵개발 물자가 북한, 파키스탄 등 핵개발에 이용된 혐의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이런 부품이 파키스탄이나 북한의 핵 개발에 이용된 혐의가 있어 유일한 피폭국인 일본의 기업이 핵 개발에 짐꾼 노릇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며 “적발된 부정 수출 사건은 빙산의 일각으로 보아야 한다”고 보도했다.

바른미래당 하태경 의원이 12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일본 경시청 출처인 '대량살상무기 관련 물자 등 부정수출 사건 목록'을 공개했다. 사진은 하 의원이 공개한 일본 경시청 자료.

바른미래당 하태경 의원이 12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일본 경시청 출처인 '대량살상무기 관련 물자 등 부정수출 사건 목록'을 공개했다. 사진은 하 의원이 공개한 일본 경시청 자료.

하 의원은 “산케이신문은 ‘메이드 인 재팬’(made in Japn)의 핵무기가 일본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다”며 “훨씬 더 많은 일본 부품들이 국제 핵 암시장 통해 북한으로 넘어갔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국제 핵 암시장’에 대해서는 당시 파키스탄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북한을 포함한 친북 국가의 핵 개발 문제와 관련해 일본은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며 “한일 경제에 있어서 북핵의 책임을 거론하는 것 자체가 난센스”라고 지적했다.

하 의원은 “산케이신문 등 일본 언론은 일본제 전략 물자가 북한에서 전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충분히 알고 있는데도 적반하장 식으로 한국을 음해하는 기사를 쓰고 있다”며 “특히 산케이신문은 즉각 사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은 한국이 대북 전략물자 밀수출에 관여했다는 아무런 직접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며 “일본은 수출규제를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 의원은 앞서 지난 11일 일본 안전보장무역정보센터(CISTEC) 자료를 근거로 일본에서 1996~2013년 까지 30건 이상의 대북 밀수출사건이 발생했으며, 이 중에는 핵개발·생화학무기에 활용될 수 있는 전략물자가 포함돼있다고 주장했다.

또 12일에는 일본 경시청의 ‘대량살상무기 관련 물자 등 부정수출 사건 목록’ 자료를 분석해 일본이 북한뿐 아니라 이란, 중국 등에도 대량살상무기 관련 물자를 밀수출하다가 적발된 사실을 공개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